- 영문명
- A Study on Perceived Team Support &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박노율(NohYul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95~12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3.01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팀후원인식의 선행변수의 발굴과, 후원인식의 상이한 근원이 태도적 성과인 팀교체의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교환이론과 상호성 규범 측면에서 알아보는 것이었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자기효능감이 팀후원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둘째, 과업정체성이 팀후원인식과 조직후원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셋째 직무불안정성이 조직후원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넷째, 팀후원인식이 팀교체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조직후원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결과는 자기효능감은 팀후원인식과, 과업정체성은 조직후원인식과, 직무불안정성은 조직후원인식과 유의하였으나, 과업정체성은 팀후원인식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종업원은 후원인식의 근원과 몰입 대상에 따라 다르게 반응하였다.
설문지는 리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하여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실증검증을 하기 위하여 SPSS 11.0을 사용하여 신뢰성과 타당성을 평가하고, 제안모델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LISREL 8.50을 사용하였다. 토론 및 결론 부분에서 이 연구의 결과가 줄 수 있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에 대한 논의와 연구의 제한점과 미래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설문지는 리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하여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실증검증을 하기 위하여 SPSS 11.0을 사용하여 신뢰성과 타당성을 평가하고, 제안모델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LISREL 8.50을 사용하였다. 토론 및 결론 부분에서 이 연구의 결과가 줄 수 있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에 대한 논의와 연구의 제한점과 미래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ritical roles of employees" support perceptions such as PO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TS (perceived team support) in their work environments. There may exist a variety of causes and outcomes relevant to these perceived support variables. This study examines the ralationships of the two support variables with three antecedent variables (self-efficacy, task identity, job insecurity) and two consequence variables (turnover intention, team change intention).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a reasonable fit of proposed model to actual data. It was exhibited that self-efficacy is significantly related to PTS, while task identity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OS. Job insecuri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POS as expected. Also it was found that POS and PTS take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team change intention, respectively.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a reasonable fit of proposed model to actual data. It was exhibited that self-efficacy is significantly related to PTS, while task identity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OS. Job insecuri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POS as expected. Also it was found that POS and PTS take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team change intention, respectively.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