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박오수 박원우 최혜원 양혁승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23~5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3.0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업조직에 급격히 확산되어 온 팀제의 성공적인 정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다 높은 팀 유효성을 야기하는 인지적 메커니즘으로서 최근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서 관심이 증대되기 시작한 팀의 공유된 인식모델(shared mental model)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팀내 공유된 인식모델을 형성하는 요인이 무엇이며, 그러한 공유된 인식모델이 팀 유효성 모델 내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를 실증을 통해 고찰하였다. 즉, 공유된 인식모델의 선행요인으로 제시된 팀의 인구통계적 다양성과 과업 상호의존성, 결과요인으로 제시된 집단내 갈등과 집단의 의사결정 유효성이 팀의 인식모델의 수렴도(convergence)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를 실증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13개 기업의 사무직 종사자로 구성된 43팀(24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한 결과, 팀 과업의 상호의존성 정도는 인식모델의 수렴도와 높은 연관성을 갖고 있지만, 팀의 인구통계적 다양성과는 그다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인식모델 수렴도의 정도와 팀 프로세스의 관계에 대해서는 인식모델의 수렴도가 집단내 갈등 정도에 대해서는 부분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의사결정 유효성 정도와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13개 기업의 사무직 종사자로 구성된 43팀(24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한 결과, 팀 과업의 상호의존성 정도는 인식모델의 수렴도와 높은 연관성을 갖고 있지만, 팀의 인구통계적 다양성과는 그다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인식모델 수렴도의 정도와 팀 프로세스의 관계에 대해서는 인식모델의 수렴도가 집단내 갈등 정도에 대해서는 부분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의사결정 유효성 정도와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영문 초록
목차
한국어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과 가설의 설정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과 가설의 설정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