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김종우 이지우 이춘우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3년도 경영관련학회 통합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29~361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8.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러 산업에 존재하는 다양한 집단들을 대상으로 집단특성, 집단과정 및 집단효과성 사이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집단의 과업특성, 심리특성, 구성특성, 상황특성이 집단특성을 구성하는 하위요인들로 포함되었으며, 집단과정은 의사소통과 팀-구성원 교환관계를 통해 파악하였다. 구성원들의 집단에 대한 몰입과 만족, 구성원과 집단책임자에 의해 평가된 집단성과가 집단효과성을 구성하는 요인으로 포함되었다.
194명의 집단책임자와 구성원 656명의 설문지반응을 AMOS 패키지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집단특성→집단과정→집단효과성’을 가정한 연구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의 과업특성, 심리특성, 구성특성 및 상황특성은 집단과정에 정(+)적 영향을, 집단과정은 집단효과성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특성이 집단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집단과정의 매개역할을 검정함으로써 집단과정의 중요성을 재확인하여 기존이론의 타당성 검토를 확장시켰으며, 양질의 집단과정은 집단성과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의 근로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큰 몫을 하며, 집단의 과업특성, 심리특성, 구성특성 및 상황특성에 대해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건설적인 집단과정을 유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194명의 집단책임자와 구성원 656명의 설문지반응을 AMOS 패키지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집단특성→집단과정→집단효과성’을 가정한 연구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의 과업특성, 심리특성, 구성특성 및 상황특성은 집단과정에 정(+)적 영향을, 집단과정은 집단효과성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특성이 집단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집단과정의 매개역할을 검정함으로써 집단과정의 중요성을 재확인하여 기존이론의 타당성 검토를 확장시켰으며, 양질의 집단과정은 집단성과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의 근로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큰 몫을 하며, 집단의 과업특성, 심리특성, 구성특성 및 상황특성에 대해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건설적인 집단과정을 유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모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모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