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교수 방법론에 관한 실제 조사 연구 : 서울 시내 4개 대학의 말하기 교육 중심으로
이용수 1,436
- 영문명
- A Study on Korean Teaching Method Implemented in Korean Schools : Case Study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전홍식(Chon Hong Sik)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6권, 27~4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2.28

국문 초록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이 증대 되면서 대두 되는 문제는 어떻게 한국어 교육을 효과적으로 가르치느냐 하는 것이다. 한국어 교육에서도 이미 개발되어 있는 외국어 교수법을 채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교육기관에서는 외국어 교수법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말하기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조사기관 선정은 한국어 교육과정 창립 순에 근거하여 4개 기관을 선정하였으며 직접 방문을 통한 면담을 중심으로 하되 학생 만족도나 강사 평가 보다는 교수법 이론에 의한 장단점을 분석했다. 논문을 통하여 발견된 점은 교육기관들 모두 생존 단계 의사소통을 위한 교육 목표가 공통적이었지만 기관마다 사용하는 교수법은 가장 고전적인 반복식 교수법부터 과업 중심 교수법까지 다양해서 공통점이 없었다. 본 논문의 검토를 통하여 제안하는 것은 지금까지 40 여년 동안 이루어진 각 교육기관의 한국어 교육의 노우하우(Know-how)를 접목하여 표준화된 교수법 제시가 필요한 때라고 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which teaching methods are implemented in leading Korean schools and how we can adopt their skills into our classrooms. To complete the survey researchers visited the fields and questionnaire was made about what types of teaching methods and activities of the textbooks they used. Finding is each school adopt different method appropriate for its own purpose resulting in different strategies for the same target of improving Korean fluency. At present the role of course-books and supplementary books are both important in that the textbooks are starting keys which introduce the intended teaching method by instructors. Also no schools use one clear-cut teaching method but mixed ones implying what we should do in our school. In long-term over-view the paper suggests a standard teaching manual is possible for Korean learners.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유형 분석 방법 및 기준
3. 대학별 한국어 교육 방법 실태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