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이진규 박지환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171~19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0.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리더와 부하의 지각일치 수준에 따라 부하의 리더신뢰, 충성도, 그리고 리더만족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Atwater and Yammarino(1997)와 Yammarino and Atwater(1997)의 자기-타인평가 일치 과정 모델을 사용하였다. 총 103개의 리더-부하 쌍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리더의 자기지각과 부하지각의 결과 차이에 근거하여 지각일치 수준을 4개로 유형화(동일 고평가, 동일 저평가, 과대평가, 과소평가)하였다.
분석결과, 과대평가 유형의 리더(부하에 비해 자신의 변혁적 리더십을 높게 지각하는 리더)는 과소평가 유형(부하에 비해 자신의 변혁적 리더십을 낮게 지각하는 리더)의 리더에 비해 부하의 리더신뢰, 충성도, 그리고 리더만족에서 모두 낮게 나타났다. 과소평가 유형의 리더는 과대평가나 동일 저평가 유형(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리더 본인의 지각과 타인의 지각이 모두 낮은 경우)의 리더에 비해 부하의 리더신뢰, 충성도, 그리고 리더만족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동일 고평가 유형(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리더 본인의 지각과 타인의 지각이 모두 높은 경우)의 리더는 동일 저평가 유형의 리더에 비해 부하의 리더신뢰, 충성도, 그리고 리더만족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고, 과소평가 유형과의 비교결과에서는 리더 유효성 변수들(부하의 리더신뢰, 충성도, 리더만족) 각각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는 부하에 의해 인지된 리더십의 중요성을 강조했던 기존 연구에서 더 나아가 리더와 부하의 쌍의 관계에서 부하의 지각뿐만 아니라 리더와 부하의 지각일치의 효과를 통해 리더의 자아인식의 수준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