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농폐기물 자발적 관리 유도를 위한 거버넌스 운영 필요성 −경남 농촌환경 개선 캠페인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Need for a Governance Framework to Induce Voluntary Management of Agricultural Waste for Rural Environments
- 발행기관
-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 저자명
- 최선희 박인경 한승호 서영민 김홍석 김석휘 김강주
- 간행물 정보
- 『환경에너지공학』제20권 제3호, 26~34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n 2023, the reported generation of various agricultural wastes in rural areas, specifically waste vinyl and pesticide containers, was 290,017 tons and 73,822,258 units, respectively. To promote the efficient collection and recycling of agricultural waste,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has been implementing a collection and treatment program. As part of the 2024 pilot program for autonomous agricultural waste collection, 212,080 tons of waste were collected. However, a significant portion of this waste remains uncollected, leading to illegal incineration, burial, and abandonment. This paper analyzes the outcomes of a rural environmental improvement campaign in the Gyeongnam region, which was conducted through a public-private-academic governance
model. The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need for establishing a sustainable circular system for agricultural waste, enhancing its value as a carbon-neutral renewable energy source, and strengthening community capabilities. Through this governance model, which included farmers, government, local authorit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we shared insights into the current state and challenges of agricultural waste management, explored solutions, and encouraged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residents in environmental improvement. The results confirmed that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from indiscriminate waste disposal, creating a pleasant rural environment, and recognizing the role of agricultural waste as a carbon-neutral biofuel can contribute to the public value of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ies. These findings suggest the potential for this model to be adopted as an effective ESG management strategy for public institutions and local governments to establish a robust resource circulation system for agricultural waste.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거버넌스 운영
3. 경남지역 영농폐기물 발생 및 관리 현황
4. 영농폐기물 관련 정책 인식도
5. 지자체, 민⋅관⋅학 거버넌스 운영
6.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환경공학분야 BEST
- 대구 달성군 산업단지 휘발성유기화합물 건강위해평가 및 배출원 추적
- 실내 침적먼지 내 중금속 노출에 따른 어린이와 성인의 건강위해평가 및 노출기준 설정
- 한국 대학생의 통학방법과 학업 스트레스 사이의 연관성 -지속가능한 교통과 학업 환경-
공학 > 환경공학분야 NEW
- 수열탄화를 통한 파프리카 농업 잔류물의 연료 및 연소 특성 향상
- 영농폐기물 자발적 관리 유도를 위한 거버넌스 운영 필요성 −경남 농촌환경 개선 캠페인 사례를 중심으로−
- 저비점 탄화수소 혼합가스의 Packed-bed 시스템 내 흡착⋅탈착 성능 평가 및 최적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