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단편영화 배급 시스템 변화를 위한 배급사들의 다양한 시도: 가능성과 한계점
이용수 0
- 영문명
- Different Attempts by Distributors to Change the Distribution Systems of Korean Short Films : Possibility and Limitation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송예진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35호, 45~6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film industry, which used to be centered around movie theaters, is encountering abrupt challenges with changes in the form of audiences’ appreciation of movies due to COVID19 pandemic at the moment. In the midst of this turbulence, independent films and short films are further losing their grounds that were already ever small. Therefore, facing the post-pandemic era, we, in this article, will take a look at potential changes in distribution system of short films. Short films have compressed stories compared to long films because of short running time. Also, various types of artistic expressions are allowed to be portrayed in short films, and with these, they strive for diversity in movie films and carry artistic values. However, short films’ current film-festival-centered distribution system has resulted that majority of short films weren’t able to come to light with the exception of a small number of them. Furthermore, because of recent COVID19’s breakout, a large number of film festivals has been downsized and even canceled, adding up more tension in short film industry. Now, in order to react to these challenges, many distributors including Central Park Films, Rainy Days Picture, Filmdabin, and Funnycon, are searching for ways to quench the emergency in short films distribution. They host many premiere screening events and provide subscription services, and on the other hand, they recreate contents, provide OTT service, a nd produce omnibus-style short films. In short, they are putting efforts in trying something new. In this article, we will analyze and research short film distributors’ various new tries and their limitation and improving points in order to enhance potential for improvement in short films’ distribution system and to suggest its direction.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단편영화의 가치와 배급 시스템 변화의 필요성
Ⅲ.단편영화의 배급 변화 시도
Ⅳ .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성공 요인 분석-대본과 그 장르를 중심으로 -
- 소통을 위한 영화의 형식적 표현 연구-영화 <증인>을 중심으로 -
- 영화 <서치>의 연출 분석-파운드 푸티지와 전통적인 장르의 융합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