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화 속 타자성 분석-<포도나무를 베어라>를 중심으로 -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n Otherness in a Film-Focusing on
-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민병훈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35호, 5~2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Director Min Byunghun's third feature film, (2006) has been constantly interpreted as a kind of growth period that young theological students cannot but undergo in the narrative stream of faith and salvation. It is very interesting to substitute a philosophical thought for an analysis on the film. The philosophical thought is the concept of Other(他者) stressed by E. Levinas. In the film, several beings as alter ego with 'the Face of the Other' appear among a series of accidents in which Suhyeon, a theological student, again invokes a conflict with Sua, his ex-girlfriend and comes to feel a sense of guilt.
The film symbolically expresses the process in which the subject with falsity, fear and weakness genuinely ask for the Other's or her forgiveness. Inner truths which have never been said are discovered with the technique of 'Otherness' as the uncertain and unlimited world, since a mirror device reinforcing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and furthermore, a large Otherness world in which the character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like toothed wheels and which therefore covers the whole space-time in the film were established.
By analyzing , the Otherness-centered film, this study emphasizes a limit of the subject and the necessity of Other. In addition, only altruistic attitudes with which one can face and be responsible for things different from him/her does not allow him/her to recognize the world as a target to be conquered, but to progress toward the future. It can be also found that the communication with God, which we cannot predict, would begin, only if we are not afraid of God's mask created by us and prune false grapevine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성공 요인 분석-대본과 그 장르를 중심으로 -
- 소통을 위한 영화의 형식적 표현 연구-영화 <증인>을 중심으로 -
- 영화 <서치>의 연출 분석-파운드 푸티지와 전통적인 장르의 융합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