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설의 영화 각색 연구-소설 『리타 헤이워드와 쇼생크 탈출』의 각색영화 <쇼생크 탈출>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film adaptation of novels-Focusing on a novel 「Rita Hayworth and Shawshank Redemption」 to a adaptation film
-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최두영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37호, 181~20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n the modern digital era, cultural content platforms are diversifying.
The place of cultural consumption that used to be represented movies and TV is expanding its base to OTT (streaming service), web-based cartoons and dramas, and mobile platforms.
As a result, OSMU(one sorce multi use) of cultural contents has also become a common phenomenon. So is the movies.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works that are made into films by ‘adaptation’ original scripts from other media rather than original scenarios.
So, the most important one is the adaptation.
Knowing the difference between a movie and other media and have adaptation it to the optimized ‘STORY’ of the movie based on that can guarantee the success of the movi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help the actual film adaptation proces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riginal novel 「Rita Hayworth and Shawshank Redemption」 and the movie .
The reason why was chosen as the research subject is because of the original author ‘Stephen King’.
He is the world's best-selling author and who provided the source for the movie ‘Story’, in which many of his works were made into films.
What made Stephen King's novels turn into a prolific adaptation film?
Second, the movie has been ranked number one for s everal years on the US site IMDB, which is based on audience vot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ecret of its popularity in that it has been loved for a long time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audience since its release. The study minimized the discussion of the broad meaning according to the category of movie adaptation, and conducted an analysis through a specific comparison between the original novel and the adaptation movie.
In o rder t o perf orm it , t he analysis was divided int o sub ject and composition, and incidents and characters. This is because it was judged that this items was necessary to show the differences and contact points between the novels and the films.
I expect this study to be of practical help to the film adaptation of the novel.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의 사실적 연기법 적용방안 연구
- 루카 구아다니노의 <서스페리아>에 나타난 공포의 미학-내러티브 및 함의, 영상표현기법을 중심으로 -
- VR 태권교육 웹서비스 방송이 결합 된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중심의 프로젝트 연구
- 스토리텔링 기술로서의 롱테이크 활용에 관한 연구
- 영상구성 파라미터 기반 지능형 OST 매칭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영화음악
의 DAW제작 연구 - 코로나19 한국영화산업 통계 분석
- 모노스코픽과 스테레오스코픽 VR 시청방법이 이용자에게 미치는 영향 연구 : 프레즌스를 중심으로
- VR안전교육콘텐츠 효과요인 탐색적 연구-문헌고찰과 FGI를 중심으로
- 소설의 영화 각색 연구-소설 『리타 헤이워드와 쇼생크 탈출』의 각색영화 <쇼생크 탈출>을 중심으로-
- 스마트시니어의 가상현실 실감콘텐츠 사용자 경험과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 영화 <기생충>의 이차 프레임 연구
- 영화 <소나티네>에서 나타나는 욕망의 시각화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연구 - 라이트모티프를 중심으로 -
- 퀴어영화의 셔레이드 분석- 영화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을 중심으로 -
- 메소드 영화연기의 역사와 방법론 연구
- 퍼포먼스, 시간 그리고 전복: 김구림의 영화실험 키워드
- 2010년대 초반 조폭 영화의 흥행 요인적 서사 전략 연구: 영화 <범죄와의 전쟁:나쁜놈들의 전성시대>를 중심으로
- 영화 <셜리의 모든 것>에 나타난 아방가르드 영화의 특성
- 한정된 공간에서 인질을 다룬 영화의 캐릭터 연구 - <폰 부스>와 <더 테러 라이브>를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성공 요인 분석-대본과 그 장르를 중심으로 -
- 소통을 위한 영화의 형식적 표현 연구-영화 <증인>을 중심으로 -
- 영화 <서치>의 연출 분석-파운드 푸티지와 전통적인 장르의 융합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