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의 사실적 연기법 적용방안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Research on application of realism based acting method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윤용아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37호, 5~1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Based on the records, the areas where the act of “acting” was performed in Korea were traditional plays that were highly formatted such as mask dance, puppet play, pansori, and changgeuk. It is correct to see the form of acting conducted through traditional plays as a concept of performance that was comprehensively strong in the form of festivals rather than a concept of realism based acting that we commonly understand in the contemporary era. In other words, traditional plays are not usually based on narratives and express conflicts within social systems in a formatted form of indirect fiction or metaphor, not in a way that characters realistically convey the content of the narrative and the theme of the play.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estern-style dramas that pursued realistic acting to approach truth or authenticity have never been performed in Korea, so there is no realism based acting method native to modern Korea except for traditional dramas that mainly expressed technical and formatted performances. In the 1910s, Sinpa play, part of modern drama, was introduced from Japan, and from then on, Korean actors began to use life problems as the subject of work based on reality and language perception, and attempted to express them realistically. It was the time that realistic acting started to be required.
Since 1910, plays have been the main demand for realism based acting, and film industry which started in 1919, as sub-demand. Since the establishment of KBS in 1961 and t he growth of film market. there were more realism based dramas/films produced and the demand for realism based acting surged. As demand surged, Korea began to introduce realism based acting methods developed in the West. Currently taught acting methods at Korean art schools, private academies, and the fields have all been brought from the West. Their forms vary, such as the System, Grotowski, American acting methods, and Meisner Techniques, but Korean people tend to call them all a “method”. In Korea, the founder of the methods is often known as Russian Stanislavski, who established modern acting theory, but the correct way to call his theory is the “System.” The Methods we know is “American Acting Methods” to be correct.
The American acting Method has not be en properly taught or attempted in Korea, but only criticism of it is high. The problem comes up from here. The first is a problem in which students and actors were given indiscriminate guidance from whom did not have thorough understanding of it. Second, acting is divided into various genres such as stage acting, camera acting, mime, and musical, and the goals and training courses pursued by genre are all different, but the Method has been considered as the goal of all acting genre, so it is confusing for aspiring actors what training to focus on.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limited to realism based acting methods, and the purpose of it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works in areas requiring realism based acting by examining cases of realism based acting such as the Systems or the Method, identifying problems, and suggesting directions for improvement.
영문 초록
목차
Ⅰ.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의 사실적 연기법 적용방안 연구
- 루카 구아다니노의 <서스페리아>에 나타난 공포의 미학-내러티브 및 함의, 영상표현기법을 중심으로 -
- VR 태권교육 웹서비스 방송이 결합 된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중심의 프로젝트 연구
- 스토리텔링 기술로서의 롱테이크 활용에 관한 연구
- 영상구성 파라미터 기반 지능형 OST 매칭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영화음악
의 DAW제작 연구 - 코로나19 한국영화산업 통계 분석
- 모노스코픽과 스테레오스코픽 VR 시청방법이 이용자에게 미치는 영향 연구 : 프레즌스를 중심으로
- VR안전교육콘텐츠 효과요인 탐색적 연구-문헌고찰과 FGI를 중심으로
- 소설의 영화 각색 연구-소설 『리타 헤이워드와 쇼생크 탈출』의 각색영화 <쇼생크 탈출>을 중심으로-
- 스마트시니어의 가상현실 실감콘텐츠 사용자 경험과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 영화 <기생충>의 이차 프레임 연구
- 영화 <소나티네>에서 나타나는 욕망의 시각화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연구 - 라이트모티프를 중심으로 -
- 퀴어영화의 셔레이드 분석- 영화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을 중심으로 -
- 메소드 영화연기의 역사와 방법론 연구
- 퍼포먼스, 시간 그리고 전복: 김구림의 영화실험 키워드
- 2010년대 초반 조폭 영화의 흥행 요인적 서사 전략 연구: 영화 <범죄와의 전쟁:나쁜놈들의 전성시대>를 중심으로
- 영화 <셜리의 모든 것>에 나타난 아방가르드 영화의 특성
- 한정된 공간에서 인질을 다룬 영화의 캐릭터 연구 - <폰 부스>와 <더 테러 라이브>를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성공 요인 분석-대본과 그 장르를 중심으로 -
- 소통을 위한 영화의 형식적 표현 연구-영화 <증인>을 중심으로 -
- 영화 <서치>의 연출 분석-파운드 푸티지와 전통적인 장르의 융합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