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대 납치구출 액션영화 서사 연구: <테이큰>, <아저씨>, <성난 황소>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Analysis of Modern Kidnapping and Rescue Action Films: Focusing on
, ,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김형종 김종완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40호, 205~22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n the past, there was a common understanding that kidnappings were usually committed for money. The kidnapper had to arrange meet-up locations to receive the requested amount. The meet-up location was the key to tracking and arresting the culprit. However, in modern times, prostitution and organ trafficking provide self-sufficient sources of monetary return, disincentivizing the kidnappers to re quest ransom. Thus, the method of tracking and arresting criminals has changed.
Films reflect the times. The same is true for kidnapping and rescue action films. Instead of evidence from calls or meet-ups, other clues for tracking the culprit surface, whether it be a business card, a plate number, or a private loan organization.
The original format of the kidnapping and rescue films, which end with defeating the final villain and rescuing the victim, remains unchanged. However, since the tracking methods have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society, the necessity to systematize the modern narrative structure through analyses of modern kidnapping and rescue action films has arisen.
Accordingly, analyses were made on (2008), (2010), and (2018), organizing the structure and peculiarities of the respective narrative. The writer anticipates that this study will help understand the narrative of modern kidnapping and rescue films and provide guidance to scriptwriting.
영문 초록
목차
Ⅰ . 서론
Ⅱ . 작품 분석
Ⅲ .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상 콘텐츠에서의 사실적인 3D 모델링 구현을 위한 포토그래메트리 스캐닝 연구 : 하이 다이나믹 레인지를 중심으로
- 촬영, 녹음기술로 완성되는 영화연기-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어느 가족>, <아무도 모른다>를 중심으로
- 2D 버추얼 유튜버 적용사례와 제작연구-2D 버추얼 유튜버를 중심으로-
- 단편 애니메이션 <피스트(Feast)>에서 감정표현 전달을 위한 빛과 그림자 활용 연구
- 탄막 영상의 기호학적 전파: 롤랑 바르트의 신화를 중심으로
- 버추얼 프로덕션에서 스크린 모아레 현상을 통제하기 위한 LED 패턴 제거기법
- 청각장애를 소재로 한 영화에 나타나는 셔레이드 기법 분석-사운드 오브 메탈을 중심으로 -
- 영화에 나타난 심리적 거리와 공간의 인지
- 유튜브에 나타난 다문화 가정의 일상적 표현과 소통에 관한 연구
- 영화 <미지왕>의 작가주의적 관점과 영화사적 의미 고찰
- 콘텍스트로서 영화 배경공간의 기능에 대한 연구
- 현대 납치구출 액션영화 서사 연구: <테이큰>, <아저씨>, <성난 황소>를 중심으로
- 환경다큐멘터리의 미디어 효과와 효과의 지속 시간- KBS 다큐인사이트 특별기획 4부작, ‘붉은 지구’를 중심으로 -
- PUSHING MIXED CINEMATIC MODES TO THE EXTREME: KNIGHT OF CUPS AND SONG TO SONG AS THE WATERSHED OF TERRENCE MALICK’S FRAGMENTED CINEMATIC AESTHETICS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