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렌즈와 원근감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문원립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1호, 81~9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진의 원근감 또는 perspective에 관해 상당한 개념적 혼란이 있어 보인다. 일부 전문 서적에서도 그런 문제가 발견된다. 이 혼란의 내용은 주로 원근감이 렌즈에 의해 결정되는가, 촬영거리에 의해 결정되는가, 아니면 둘 다인가 라는 것이다. 원근감에는 두 가지 요소 또는 변수가 있다. 그것은 상( image)의 크기비(앞뒤의 피사체들, 또는 한 피사체의 앞과 뒤 사이의 겉보기 크기 비율)와 상의 크기다. 전자는 쉽게 직관적으로 이해가 되지만 후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게 혼란의 원인이다. 상의 크기가 왜 원근감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본 후, 촬영거리는 크기와 크기비 둘 다에 영향을 미치지만 서로 상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결국 렌즈만이 원근감을 결정하게 된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표준렌즈 또는 '자연스런 원근감'의 기준은 이미 알려져 있지만 위 논의의 연장선상에서 이 문제에 대해 검토해 보고, 끝으로 렌즈 화각에 따른 심리적 영향에 대해 간단히 살펴본다.
영문 초록
There seems to be a significant confusion around the concept of ‘lens perspective’. Such confusion can be found in some cinematography textbooks. The problem centers on whether perspective is determined by lens focal length, by object distance, or by both. ‘Perspective’, understood as the sense of depth, not as the mere image size ratio, has two aspects, or variables. One is the image size ratio (ratio of apparent szie between foreground and rear of an object), and the other in the image size itself. The former is intuitive and relatively east to grasp, but the latter is not and seems to be the source of confusion. After the discussion of why image size affects perspective, it is show that, though object distance affects both size and size ratio, the effects cancel each other, so only lens remains as the determinant of perspective.
Though the standard of normal lens or ‘natural perspective’ is known, the issue is seen in the context of the above discussion, using concepts developed there. Lastly, psychological aspects of different lens perspectives are briefly discussed.
목차
1. 문제 제기
2. 상의 크기비
3. 또다른 변수
4. 상의 크기
5. 촬영거리 vs 렌즈
6. 표준렌즈
7. 원근감과 분위기
8. 마치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투명LED필름을 활용한 미디어파사드 연구
- 영화 <시민 케인>과 <소셜 네트워크> 비교 분석 연구: 형식미와 미학적 세계관을 중심으로
- 매체연기 접근법에 있어 ‘정서적 기억’의 한계와 재평가: ‘영화 이미지’와 베르그송의 지각작용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