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매체연기 접근법에 있어 ‘정서적 기억’의 한계와 재평가: ‘영화 이미지’와 베르그송의 지각작용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Reevaluating the Limitations of 'Affective Memory' in Media Acting Approaches: Focusing on Film Imagery and Bergson's Perception Theory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김태겸 김종완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45호, 5~2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new approach to media acting. It reexamines the preconceived notion that media acting is primarily an art of directing or editing, and instead proposes an actor-centered approach that focuses on the physicality of actors and the reality effect that stems from the movement in visual media. To achieve this, the concept of ‘film image’ will be re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acting, analyzing how the actor’s role and physical expression hold crucial significance in media performances.
Additionally, the current overemphasis on Method acting as the core of media acting will be critically examined, along with the confusion surrounding terms such as ‘emotional memory’ or ‘affective memory,’ and their limitations. By analyzing the concepts of ‘affection’ and ‘memory’ through the lens of the ‘film image,’ this study will explore the theoretical errors and limitations of affective memory. It will demonstrate that ‘emotion’ and ‘memory’ cannot remain pure perceptions and that relying on this methodology in acting training is not an ideal approach.
This research points out that the current Method acting-dominated approach in media acting does not fully consider the integration of physical expression and psycho-physical techniques. It argues for the need to rethink the current trajectory of media acting to meet its more complex demands, contributing to a reevaluation of media acting practices today.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II. 영화 이미지
III. 정서적 기억
IV. ‘정감’과 ‘기억’
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성공 요인 분석-대본과 그 장르를 중심으로 -
- 소통을 위한 영화의 형식적 표현 연구-영화 <증인>을 중심으로 -
- 영화 <서치>의 연출 분석-파운드 푸티지와 전통적인 장르의 융합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