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볼터의 「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이용수  0

영문명
Jab David Bolte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Subtitle
발행기관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저자명
함현
간행물 정보
『영상기술연구』제13호, 29~4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origin of writing system as visual communication methods throughout pre-history age to digital technique age. The various period of time that the composition and technique skill of expression method of writing system has been developed by remediation. Jay David Bolter states that remediation of writing system create the various of human feeling toward of medium. This study can be classified the writing system as a visual method of communication technique in terms of subtitle of framework. A point of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system have been developed the sense of touch and sights are object of things within the culture of humankind. As a result of this study found that image and text are intermediately relate with themselves. As a matter of fact, the form and function of writing system has been developed by remediation of medium. The composition and technique skill of using subtitle are new expression of visual frameworks. Writing system in the configuration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subtitle considered as iconology of image rather than just text we have seen before as a medium.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글쓰기 공간에 대한 볼터의 사상
Ⅲ. 볼터의 시선으로 바라본 영상자막의 특징
Ⅳ. 영상자막의 사례 및 분석
V.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함현. (2010).볼터의 「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영상기술연구, (), 29-45

MLA

함현. "볼터의 「글쓰기 공간」으로 본 영상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 영상기술연구, (2010): 29-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