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잉마르 베리만의 <제7의 봉인> 영화 분석연구-캐릭터 아크를 통해 본 영웅의 패러다임-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es of Ingmar Berman’s Film,
-On the Hero Paradigm through an Analysis of Characters-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이숙영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19호, 109~12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ngmar Bergman explores the human aspects of both spiritualized internals and physical externals through knight Antonius Block and squire Jöns returning after fighting in the Crusades. Bergman also claims the calm integration through an unstable contrast in the set of Sweden in North Europe where lives become exhausted in instant, hypocritical frenzy about religion. That is a conflict between metaphysics and physics, a collision between theology and philosophy; furthermore a realization of unknown world. His film ‘The Seventh Seal’ captures a violent aspect of religion, which exploit the intrinsic fear and terror of humans. It is Hero Paradigm noticed with a character arc displayed in the view of Antonius, who suffers spiritual pain because the Crusades having lasted over 200 years in the medieval era keep silent in the questions about the death and eternals in relation with God and belief. This film reflects theatrical devices into the frame constantly. For example, it borrows Bertolt Brecht’s distanciation by morality play in addition to medieval liturgical drama, farce and interlude. It is remarkable that by rhetoric of Aristoteles, the genres of suggesting, debating, judging are reflected in the sequences of the morality play, the Inn and the Witchhunt, resulting in making an effect of alienation. Thus, It is the intellectual faculties of Bergman as a film composer that have the audience contemplate and analyze every phenomenon suggested.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잉마르 베리만의 <제7의 봉인> 소개
Ⅲ. 영화 <제7의 봉인> : 캐릭터 아크를 통해본 영웅의 패러다임
Ⅳ.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성공 요인 분석-대본과 그 장르를 중심으로 -
- 소통을 위한 영화의 형식적 표현 연구-영화 <증인>을 중심으로 -
- 영화 <서치>의 연출 분석-파운드 푸티지와 전통적인 장르의 융합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