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직장에 복귀한 산재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 상태가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업무수행 능력의 매개효과와 인지된 스트레스 관리 수준의 조절효과

이용수  3

영문명
The Effect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n Job Satisfaction among Injured Workers Returning to Their Original Workplac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Performance Abil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Management
발행기관
한국직업재활학회
저자명
이종주 윤홍준
간행물 정보
『직업재활연구』제35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정부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라 산재 근로자의 성공적인 사회복귀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였다. 하지만, 산재 근로자의 원직장 복귀율은 여전히 높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는 근로복지공단의 제3차 코호트 1차년도 산재보험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원직장에 복귀한 산재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 상태가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업무수행 능력의 매개효과 및 스트레스 관리 수준의 조절효과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산재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 상태는 일자리 만족도와 업무수행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업무수행 능력 역시 일자리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건강 상태와 일자리 만족도의 관계에서 업무수행 능력의 매개효과와 인지된 스트레스 관리 수준의 조절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산재 근로자의 성공적인 사회복귀를 위해 사례관리 서비스 확대, 직무 환경 조성 지원, 스트레스 수준별 사회복귀 지원 정책 마련 등 제도적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government enacted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and has promoted various policies to support workers injured on the job in successfully returning to their original workplaces. However, the return-to-work rate of these workers remains relatively low. This study utilizes data from the 1st year of the 3rd cohort of the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s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Panel Survey to analyze the impact of injured workers' subjective health status on job satisfaction after returning to their original workplace. Additionally, it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job performance abil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management. The analysis results demonstrate that subjective health status significantly affects both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bility, and job performance ability significantly impacts job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study validates the mediating effect of job performance abil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man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job satisfaction. Thes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support the successful social reintegration of injured workers, including the expansion of case management services, support for creating suitable work environm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return-to-work policies tailored to different levels of stre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방법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종주,윤홍준. (2025).원직장에 복귀한 산재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 상태가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업무수행 능력의 매개효과와 인지된 스트레스 관리 수준의 조절효과. 직업재활연구, 35 (2), 1-22

MLA

이종주,윤홍준. "원직장에 복귀한 산재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 상태가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업무수행 능력의 매개효과와 인지된 스트레스 관리 수준의 조절효과." 직업재활연구, 35.2(2025):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