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 교사의 음악 수업 관심사 탐색: 모의 수업과 교육 실습을 중심으로
이용수 35
- 영문명
- Thematizing Pre-service Teachers’ Concerns in Music Instruction During Peer- and Field-Teaching Experience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차동주
- 간행물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제29권 제4호, 213~22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사례 연구의 목적은 음악 모의 수업과 교육 실습에서 경험한 예비 교사들의 관심사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A 교육대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 교사 28명이다. 본 연구자는 2024년 10월부터 9주에 걸쳐 모의 수업과 교육 실습 이후 작성된 자기 성찰지, 개별 면담, 학급 토론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역적 분석 결과, 모의 수업에서는 수업 관련 영역에 관한 관심이 가장 높았으며(69.2%), 자기 관련 영역(23.1%)과 학생 관련 영역(7.7%)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육 실습에서는 수업 관련 영역의 비율이 다소 감소했지만(53.8%), 자기(30.8%)와 학생(15.4%)영역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귀납적 연구 분석 결과, 모의 수업에서는 내향적 성향으로 인한 대인 긴장, 수업 구성, 시간 분배, 수업 흐름 관리에 대한 부담이 주로 나타났고, 교육 실습에서는 동료와의 비교를 통한 위축감, 발문 전략의 한계, 학생 반응의 예측 어려움, 실제 교실 상황에서의 즉각적 대응 어려움 등이 수업 수행의 주요 관심사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서 예비 교사들이 교육 실습을 이질적인 낯섬이 아니라 이미 경험한 익숙함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현장 기반 모의 수업을 통해 실습 전 사전 경험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explore the concerns of pre-service teachers in music instruction during peer- and field-teaching experience with 28 junior-level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Data was collected during the 2024 Fall semester through reflection journals, individual interviews, and class discussions conducted after each peer teaching and field-teaching episode. A deductive content analysis revealed that, during peer teaching, participants were most concerned with task-related domains (69.2%), followed by self-related (23.1%) and student-related domains (7.7%). In contrast, during the field teaching, the proportion of task-related concerns slightly decreased (53.8%), while self-related (30.8%) and student-related concerns (15.4%) increased. An inductive analysis further uncovered that, during peer teaching, participants often experienced interpersonal tension due to introverted dispositions, as well as burdens related to lesson planning and time management. During the field-teaching, major concerns included feelings of professional inadequacy as a pre-service teacher due to peer comparison, limitations in questioning strategies, difficulty anticipating student responses, and challenges in responding spontaneously to real-time classroom situ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signed to ensure the continuity of pre-practice experiences through field-based peer teaching. This would help pre-service teachers perceive the teaching practicum not as an unfamiliar or disjointed experience, but as a familiar and practiced one.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논 의
VI.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ducation and Teaching Vol.3 No.8 Contents
- 中华思想文化术语翻译教学的体认模式研究
- 生成式人工智能赋能大学生价值观培育:价值功用、现实隐忧与优化路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