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립준비청년의 우울·불안과 사회적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
이용수 15
- 영문명
- The Effects of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Among Youth Aging Out of Care: The Mediating Role of Grit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 저자명
- 홍나미 최유정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복지연구』제16권 제2호, 35~6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립준비청년의 우울·불안과 사회적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립준비청년 2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립준비청년의 우울·불안은 삶의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지지는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립준비청년의 우울·불안, 사회적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은 모두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자립준비청년의 자립 의지를 높이고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among youth aging out of care,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mediating role of grit. Data of 214 youth who had aged out of care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The findings revealed that depression and anxiety negatively affected life satisfaction, whereas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impact. Moreover, grit significantly mediated the effects of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s intervention strat egies to enhance self-reliance and improve life satisfaction among youth transitioning from car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고령 발달장애인의 성공적 노화 의미 탐색 - 부모와 종사자의 지원 경험을 중심으로 -
- 노년기 디지털 리터러시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와 경제활동 참여의 조절된 매개효과
- 자립준비청년의 우울·불안과 사회적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