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년기 디지털 리터러시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와 경제활동 참여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18
- 영문명
- The Impact of Digital Literacy on Cogni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 저자명
- 이경희 남궁은하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복지연구』제16권 제2호, 5~3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초고령사회와 디지털 전환 사회의 도래에 따라, 노인의 디지털 활용 역량과 이를 통한 신체적·정신적·인지적 건강 증진이 사회복지의 주요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가 노년기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경제활동 참여 여부에 따라 이러한 영향 관계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2023년 노인실태조사에 참여한 만 65세 이상 노인 9,951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SPSS 22.0과 PROCESS Macro를 통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은 낮고, 인지기능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는 우울을 매개로 인지기능에 유의미한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러한 우울 매개효과는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노인의 경우에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년기 인지 건강 증진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과 경제활동 참여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In the contexts of a rapidly aging society and digital transformation, promoting older adults’ digital literacy and their physical, mental, and
cognitive health has become a key concern in social welfa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digital literacy on cognitive fun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depression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economic activity. Data of 9,951 older adults from the 2023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PROCESS Macro.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higher digital literacy was linked to lower depression and better cognitive function. Second, depression partia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cognitive function. Third, this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was more pronounced among older adults not engaged in economic activity.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digital literacy and economic activity in promoting cognitive health and discussed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고령 발달장애인의 성공적 노화 의미 탐색 - 부모와 종사자의 지원 경험을 중심으로 -
- 노년기 디지털 리터러시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와 경제활동 참여의 조절된 매개효과
- 자립준비청년의 우울·불안과 사회적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