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교육이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역 규모 조절 효과 분석
이용수 9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Regional Contex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Educ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Multicultural Youth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복지학회
- 저자명
- 이채영
- 간행물 정보
-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복지와 문화다양성 연구 제7권 제2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사교육의 영향을 검토하고, 지역 규모가 이영향을 조절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다문화 청소년 패널조사(MAPS)」 1기9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1,146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교육 경험을 투입한 Model2에서 유의미한 설명력이 나타났으나, 지역 규모 변수와그 상호작용 항을 추가적인 설명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사교육이 다문화 청소년에게 중요한 학업 자원이며, 그 효과가 특정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비교적 보편적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또한 성취동기, 삶의 만족도, 교우 및 교사와의 관계 등 비인지적 요인이 학업성취에 지속적이고 일관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정서적·관계적 자원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 성취도 향상을 위해 지역별 차등보다는 사교육 기회 격차 문제를 어떻게 조정할 것인가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타당하며, 양질의 공적 교육지원과 학교 내 심리적 동기, 정서적 안정, 관계적 환경 조성을포함한 다층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impact of private tutoring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investigates whether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is moderated by regional scale. The analysis utilizes data from the 9th wave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1st cohort, with a total sample of 1,146 participa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in Model 2, which incorporated private tutoring experience; however, the inclusion of regional scale variables and their interaction terms did not provide additional explanatory power. This suggests that private tutoring is a key academic resource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its effect is relatively universal, not limited by specific regions. Additionally, non-cognitive factors such as achievement motivation, life satisfaction, peer relationships, and teacher relationships consistent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d academic achievement,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emotional and relational resources. The study argues that addressing the gap in private tutoring opportunities, rather than focusing on regional differences, is a more effective strategy for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Furthermore, the study advocates for multi-layered support that includes quality public education, psychological motivation, emotional stability, and relational environment within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사교육이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역 규모 조절 효과 분석
- 외국인 정책 기본계획 변화 과정에 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 분석
- Structural Determinants of Immigrant Integration: Trajectories of Migration and Settlement among Asian Americans in the United Stat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