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속성경험적 역동심리치료(Accelerated Experiential Dynamic Psychotherapy: AEDP) 기반 인형 치료 집단프로그램이 불안정 성인 애착 예비 놀이치료자의 자기인식과 자기수용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
- 영문명
- The Effects of an Accelerated Experiential Dynamic Psychotherapy based Group Figure Therapy Program on Self-Awareness and Self-Acceptance in Preparatory Play Therapists with Insecure Adult Attachment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신보라 노남숙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36권 제3호, 103~13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2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정 성인 애착 예비 놀이치료자를 대상으로 속성경험적 역동심리치료(Accelerated Experiential Dynamic Psychotherapy: AEDP) 기반 인형 치료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기인식과 자기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에 소재한 M 대학교 통합치료대학원 아동심리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석사생들로 성인 애착(AAS) 척도를 통해 불안정 애착으로 선정된 2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AEDP 기반 인형 치료 집단프로그램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검사로 자기인식 척도, 자기수용 척도를 실시하여 검사 점수를 비교하였으며, 비모수 통계기법인 Wilcoxon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양적 결과를 보완하고자 프로그램 회기 전체를 녹화한 비디오 자료, 사진 자료, 축어록을 토대로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AEDP 기반 인형 치료 집단프로그램은 불안정 성인 애착 예비 놀이치료자의 자기인식, 자기수용을 향상하는데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내담자와 치료자와의 안정적인 애착 관계를 중요하게 다루는 AEDP에 기반한 인형 치료 집단프로그램이 불안정 성인 애착 예비 놀이치료자의 자기인식과 자기수용 향상에 효과를 내었다는 기초자료를 제공한 점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an AEDP based Group Figure Therapy Program on self-awareness and self-acceptance in preparatory play therapists with insecure adult attachment. The study involved 20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Child Psychotherapy at the Graduate School of Integrative Therapeutics, University of M. comprising an experimental group of 10 and a restricted group of 10. To measure the program’s impact, self-awareness and self-acceptance scales were administered as pre- and post-tests, with results analyzed using the Wilcoxon non-parametric statistical test method. Additionally, qualitative data-including video recordings, photographs, and verbatim transcripts of the sessions-were analyzed. The findings indica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elf-awareness and self-acceptance scores among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ir pre-test scores. That is, the program proved effective in enhancing self-awareness and self-acceptance among preparatory play therapists with insecure adult attachment.
목차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속성경험적 역동심리치료(Accelerated Experiential Dynamic Psychotherapy: AEDP) 기반 인형 치료 집단프로그램이 불안정 성인 애착 예비 놀이치료자의 자기인식과 자기수용에 미치는 영향
- 의미 경험을 통합한 구성주의 진로상담 프로그램 참여 청소년의 진로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 전기노인의 부부친밀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부부친밀감이 높은 기독인 남녀를 중심으로
- 김용태의 초월상담으로 본 욥기 : 실존적 고통과 회복의 여정
- 어머니 애착이 초등학생의 미디어 중독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 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퍼펫을 활용한 가족 놀이치료 단일 사례연구 : 이혼 가정을 대상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속성경험적 역동심리치료(Accelerated Experiential Dynamic Psychotherapy: AEDP) 기반 인형 치료 집단프로그램이 불안정 성인 애착 예비 놀이치료자의 자기인식과 자기수용에 미치는 영향
- 의미 경험을 통합한 구성주의 진로상담 프로그램 참여 청소년의 진로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 전기노인의 부부친밀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부부친밀감이 높은 기독인 남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