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머니 애착이 초등학생의 미디어 중독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 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3
- 영문명
- The Effects of Maternal Attachment on Media Addict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Paternal Attachment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박철형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36권 제3호, 77~10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2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에 대한 가정 내의 어려움과 문제 인식이 커지는 상황에서 어머니 애착이 초등학생의 미디어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아버지 애착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PSKC)의 초등학교 4학년 1,094가구자료를 활용하여, 어머니 애착이 아버지 애착 및 그 하위 영역인 의사소통, 소외감, 신뢰감을 매개로 초등학생의 미디어기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효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애착은 아버지 애착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미디어기기 중독에도 부적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어머니 애착과 아버지 애착을 동시에 투입한 모델에서 어머니 애착의 효과가 감소하고, 아버지 애착이 미디어기기 중독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침으로써 부분매개가 확인되었다. 둘째, 어머니 애착은 아버지 애착의 하위 영역인 의사소통, 소외감, 신뢰감에 모두 정적 영향을 미쳤고, 미디어기기 중독에 미치는 부적 효과도 세 영역에서 유의하였다. 다만, 3단계 분석에서 아버지의 소외감과 신뢰감 변인이 부분매개로 작용하였으며, 의사소통은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어머니 애착이 아버지의 정서적 지지, 특히 소외감 해소 및 신뢰감 형성을 통해 자녀의 미디어기기 중독을 간접적으로 억제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 중독 문제가 심각해지는 시대에, 아버지의 자녀에 대한 정서적 개입 전략을 포함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paternal attachment mediates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attachment and media device addiction among 1,904 households of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rs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Using Baron and Kenny’s (1986) mediation procedure, results showed that maternal attachment positively predicted paternal attachment and directly reduced media addiction. When both were entered, the direct effect of maternal attachment on addiction decreased, and paternal attachment exerte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indicating partial mediation. However, in the full model, only paternal alienation and trust functioned as partial mediators, whereas communication did not exhibit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aternal attachment may curb children’s problematic media use indirectly by enhancing fathers’ emotional support, specifically by reducing feelings of alienation and fostering trust. Implications call for family‐based interventions that bolster paternal emotional engagement in addiction prevention.
목차
Ⅰ.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속성경험적 역동심리치료(Accelerated Experiential Dynamic Psychotherapy: AEDP) 기반 인형 치료 집단프로그램이 불안정 성인 애착 예비 놀이치료자의 자기인식과 자기수용에 미치는 영향
- 의미 경험을 통합한 구성주의 진로상담 프로그램 참여 청소년의 진로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 전기노인의 부부친밀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부부친밀감이 높은 기독인 남녀를 중심으로
- 김용태의 초월상담으로 본 욥기 : 실존적 고통과 회복의 여정
- 어머니 애착이 초등학생의 미디어 중독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 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퍼펫을 활용한 가족 놀이치료 단일 사례연구 : 이혼 가정을 대상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속성경험적 역동심리치료(Accelerated Experiential Dynamic Psychotherapy: AEDP) 기반 인형 치료 집단프로그램이 불안정 성인 애착 예비 놀이치료자의 자기인식과 자기수용에 미치는 영향
- 의미 경험을 통합한 구성주의 진로상담 프로그램 참여 청소년의 진로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 전기노인의 부부친밀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부부친밀감이 높은 기독인 남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