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중년 여성의 학습경험에 관한 생애사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f in the New Middle Aged Women’s Learning Experiences from Their Life Histories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HRD학회
저자명
이선경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 인적자원개발연구』제4권 제1호, 3~2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배경 : 노년기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이전 단계인 신중년이 중요하다. 신중년은 노년기 를 준비하는 세대로, 신중년의 평생학습 경험에 주목하여, 학습경험을 통해 신중년의 내면 성장 과 정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연구목적 : 신중년 여성 학습자가 삶의 과정에서 경험한 학습을 탐구하고, 이들의 학습경험과 성찰을 통한 내면 성장과 ‘나다움’을 찾는 과정을 고찰하고 학문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자녀를 둔 기혼 여성 중 경력단절 이력이 있는 여성, 그중에서 평생교육을 통해 직 업을 전환한 이후 직업적 성취를 얻은 신중년 여성 학습자 2명으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고, 생 애사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삶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 연구 참여자들은 평생학습을 통해 성장하였고, 자기주도적인 삶을 살고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내적으로 성장하고 인격적으로 성숙해지면서 ‘나다움’을 찾아가고, 이는 그들 가족에게 도 긍정 영향을 주고 있었다. 시사점 : 본 연구는 노년 준비에 있어 평생학습의 의미를 재발견하는데 기여하고, 신중년 여성 학습자의 내면 성장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Backgrou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the previous stage, the new middle age, is important. The new middle age is as a generation preparing for old ag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lifelong learning experience of the new middle age and explore the process of inner growth of the new middle age through learning experiences. Purpose: Exploring the learning experienced by the new middle age women learner in the course of their lives, and to examine their inner growth and the process of finding “being oneself” through their learning experiences and reflections, and to draw academic implications. Methodology: Among married women with children, among women with career breaks, among them select two the new middle age women learners who have transitioned occupation through lifelong education and achieved professional success, examined using th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Conclusions: Study participants grew through lifelong learning, there are living self-directed lives. As they inner growth and matured personally, finding “being oneself”,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not only the study participants but also the family. Implic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contributing to rediscovering the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in preparing for old age and providing implications for the inner growth of the new middle age women learn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신중년 여성의 학습경험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선경. (2025).신중년 여성의 학습경험에 관한 생애사 연구. 평생교육 인적자원개발연구, 4 (1), 3-27

MLA

이선경. "신중년 여성의 학습경험에 관한 생애사 연구." 평생교육 인적자원개발연구, 4.1(2025): 3-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