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위계적 선형 모형(HLM)을 통한 제조업 근로자의 조직몰입 영향요인: 커뮤니케이션 풍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105
- 영문명
- A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Workers in Manufacturing Enterprises: Focusing on the Communication Climate
-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 저자명
- 김기민 정진철
- 간행물 정보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57권 제2호, 29~4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위계적 선형 모형을 바탕으로 제조업 근로자의 조직몰입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개인 및 조직 수준의 영향요인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의 Ⅱ차 WAVE 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조직 내 최소 10인 이상의 근로자가 소속된 기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중 근로자 수가 10인 이상인 기업은 192개로 최종 7,794명을 분석 대상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제조업 근로자의 조직몰입은 개인 및 조직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개인 및 조직 수준 변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몰입에 대한 개인 수준 변인은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몰입에 대한 조직 수준 변인인 커뮤니케이션 풍토의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커뮤니케이션 풍토가 직무순환을 통한 학습 경험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과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level factors that influence the enhanc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manufacturing workers, based on a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To this end, data from the fourth year of the second wave of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provid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KRIVET), were utilized. A sample was extracted targeting workers belonging to companies with at least 10 employees, resulting in a final sample of 7,794 workers from 192 companies. The findings reveale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manufacturing workers varied across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and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actors at both levels. Second, all individual-level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 organizational-level variable, communication climate,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communication climat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job ro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초등영어교육 제31권 3호 목차
- Performing and Managing Emotional Labor in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ing
- 초등영어 정책 개선을 위한 기초학력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