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자아성장을 위한 게임놀이 사례

이용수  0

영문명
A Case Study of Game Play for Social Interaction and Self-growth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청소년상담학회
저자명
이미나 차윤정 전현미 이지영
간행물 정보
『청소년상담학회지』제6권 제1호, 69~8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자아성장을 돕기 위한 게임놀이 경험사례이다. 게임놀이는 발달장애 청소년 3명 모두(남, 19세, 지적장애)이며, S시 G센터에서 총 12회기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접근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게임놀이는 규칙, 제한, 목표 등을 조직화할 수 있으며, 치료적 요소로서 즐거움, 자기표현, 자아강화, 사회적 능력을 습득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게임놀이가 발달장애 청소년의 일반적인 학습영역과 사회적 상호작용 및 자아성장의 변화가 있었다. 세부적으로는 사회성 증진, 자기이해 및 감정정화로부터 시작하여 현실에 대한 자각 능력을 증진시켰다. 발달장애 청소년들은 타인과의 관계형성에 어려움이 있지만 게임놀이를 통해 친밀하고 안전하게 생활하도록 도울 수 있었고 사회성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특히, 게임놀이는 흥미유발, 놀이집중, 능동적,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게임놀이 과정에서 언어적 의사소통 강화 및 이기고 지는 승패의 경험으로 참여자들은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였다.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경험을 통해 의사소통의 변화가 있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발달장애 청소년의 인식을 증진시키고 게임놀이 활동이 실천적인 자원으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This is an experience case of game play to help social interaction and self-growth of developmentally disabled adolescents. The game play was conducted for 12 sessions in total for three developmentally disabled adolescents (male, 19 years old, intellectually disabled) at G Center in S City.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practical and systematic approach to enhance social interaction of developmentally disabled adolescents. This game play can organize rules, restrictions, and goals, and as therapeutic elements, it can acquire enjoyment, self-expression, self-strengthening, and social skill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game play changed the general learning areas, social interaction, and self-growth of developmentally disabled adolescents. Specifically, it started from enhancing sociality, self-understanding, and emotional purification, and enhanced the ability to perceive reality. Developmentally disabled adolescents have difficulty form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but game play helped them live intimately and safely, and was effective in enhancing sociality. In particular, game play was an opportunity to stimulate interest, focus on play, and actively participate, and the participants freely expressed their emotions through the experience of winning and losing in the process of game play and strengthening verbal communication. There was a change in communica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social interaction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increase awareness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at game play activities will be utilized as a practical resource.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미나,차윤정,전현미,이지영. (2025).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자아성장을 위한 게임놀이 사례. 청소년상담학회지, 6 (1), 69-85

MLA

이미나,차윤정,전현미,이지영.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자아성장을 위한 게임놀이 사례." 청소년상담학회지, 6.1(2025): 69-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