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기수용 프로그램이 외상경험 청소년의 감정표현불능증과 수용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a Self-Acceptance Program on Alexithymia and Acceptance-Action in Traumatized Adolescents
발행기관
한국청소년상담학회
저자명
강봉희
간행물 정보
『청소년상담학회지』제6권 제1호, 47~6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용전념치료 모델을 기반으로 한 자기수용 프로그램이 외상경험 청소년의 감정표현불능증과 수용행동에 미치는 효과의 검증을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가정으로부터 외상을 경험한 12세 이상 18세 이하의 여자 청소년으로, 영남지역의 아동·청소년 보호시설 및 아동양육시설에서 공동생활가정 형태로 거주하는 20명이다. 이들은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누어 각 10명씩 구성하였으며, 주 1회 90분씩 총 10회기의 자기수용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사전과 사후에 감정표현 불능증, 자아존중감, 수용행동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SPSS WIN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t-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기수용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감정표현불능증을 유의미하게 감소되었고, 자아존중감 및 수용행동을 향상되는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외상경험 청소년들이 감정을 인식해가며 외부지향적인 감각적 사고에 머무르거나 감정을 회피하지 않고, 현재의 환경 내에서 최선의 가치를 추구하고 실천해가는 수용전념치료 기반의 접근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부정적 감정의 변화 유도나 감정 표현 기술 훈련으로 감정의 억압이나 부정적 인지의 변화를 목표로 하는 접근방법들과는 차별된 방식으로 외상경험 청소년의 내적 성장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 활용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s of a self-acceptance program based on the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ACT) model on alexithymia and acceptance-action in traumatized adolescents. The research subjects were 20 adolescents aged 12 to 18 who lived in group homes at child and youth protection facilities and child care facilities in the Yeongnam region.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ach consisting of 10 participants, and the self-acceptance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90 minutes over a total of 10 sessions. To valid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using the alexithymia scale, self-esteem scale, and acceptance-action scale, and analyzed using the SPSS WIN statistical program with a t-test.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self-acceptance program significantly reduced alexithymia difficul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improved self-esteem and acceptance-action behaviors. These results can be attributed to an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based approach that encourages traumatized adolescents to recognize their emotions, avoid remaining in externally-oriented sensory thinking, refrain from emotional avoidance, and pursue and practice their best values within the present environment. In addition, this program suggests that it can effectively support the internal growth of traumatized adolescents in a different way from approaches that aim to suppress emotions or change negative cognitions through changing negative emotions or training emotional expression skill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봉희. (2025).자기수용 프로그램이 외상경험 청소년의 감정표현불능증과 수용행동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상담학회지, 6 (1), 47-68

MLA

강봉희. "자기수용 프로그램이 외상경험 청소년의 감정표현불능증과 수용행동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상담학회지, 6.1(2025): 47-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