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군 장병의 비자살적 자해 실태 및 예측 요인 탐색
이용수 143
- 영문명
-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Non-Suicidal Self-Injury Among Military Personnel
- 발행기관
- 한국군사회복지학회
- 저자명
- 송경재 김대은 안동현 임종민
- 간행물 정보
- 『한국군사회복지학』제17권 제2호, 35~6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육군 장병의 비자살적 자해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예측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육군 전 장병을 대상으로 참가자를 모집하여 총 1,81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전체 응답자의 약 7.7%에 해당하는 141명이 비자살적 자해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미국 군인의 평생 유병률(6.3%)과 비슷한 수치지만, 국내 비임상 집단의 유병률보다 낮은 수치였다. 이어서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비자살적 자해 동기, 자살 사고, 정서 조절 곤란, 그릿, 군 생활 적응이 군 장병의 비자살적 자해 빈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단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해 동기, 군 생활 적응, 정서 조절 곤란, 그릿 순으로 군 장병의 비자살적 자해 빈도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하위 요인 수준에서 단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의 내적 욕구, 대인관계 욕구, 목표 및 실존 관련 변인이 군 장병의 비자살적 자해 빈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치료적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nonsuicidal self-injury (NSSI) among army personnel and to explore the predi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NSSI. A total of 1,814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ctive-duty soldiers across the entire army.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141 respondents (approximately 7.7% of the total sample) reported a history of NSSI. This prevalence rate is comparable to the lifetime prevalence of 6.3% observed among U.S. military personnel but is lower than that of non-clinical populations in Kore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NSSI motivation, suicidal ideation,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grit, and military life adapt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the frequency of NSSI among soldiers. Furthermor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NSSI motivation, military life adaptation,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and grit were key explanatory factors for NSSI frequency, in that order. At the subfactor level, additional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individuals' internal desires, interpersonal needs, and goal and existential variables significantly predicted NSSI frequency.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treatment, as well as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5권 목차
- The impact of multimorbidity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ng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