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범대학 다문화 교육 강좌의 현황과 과제
이용수 268
- 영문명
-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in Colleges of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임정수 모경환 Joon K. Kim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7권 제4호, 117~13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24년 현재 전국 사범대학에서 개설된 다문화 교육 관련 강좌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 교사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사 양성 과정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2024년 기준으로, 전국 46개 사범대학 중 28개 대학이 다문화 교육 강좌를 개설하였으며, 총 강좌 수는 59개 과목에 이른다. 이는 2009년 조사 결과에 비해 개설 기관 수가 세 배 이상, 개설 강좌 수가 네 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편성된 강좌 목록과 그 편성 양상을 분석하여 다문화적 교사 전문성 함양에 대한 접근 방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스스로의 정체성을 점검하는 과정을 통해 다양한 정체성을 포용할 수 있는 다문화적 인식을 함양하는 데 소홀함이 있었다. 둘째, 많은 강좌가 사회적 및 학습자의 다양성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셋째, 교사의 교수-학습 역량 함양을 목표로 하는 강좌들이 다양한 교과 영역에 걸쳐 개설되었으나, 실제 적용 및 실습이 수반된다고 보장할 수는 없었다. 넷째, 많은 강좌가 다문화 및 다문화 학생을 이해의 ‘대상’으로 전제하였다. 다섯째, 다문화 학급 또는 다문화 학교에서의 실습 기회를 보장하는 과목은 드물었다. 예비교사의 다문화 교육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자신의 정체성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이주 배경 외에도 다양한 다양성 기준에 대한 인식을 높여야 한다. 또한, 교사에게 평등하고 포용적인 교실 공동체를 구성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어야 하며, 무엇보다 현장 실습 강좌를 적극적으로 개설하여 실천 능력 함양을 위한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offered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Additionally, it aims to propose strategies for enhancing teacher training courses to cultivate multicultural teacher expertise. As of 2024, 28 out of 46 colleges and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are offering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with a total of 59 courses available. In comparison to the results of the 2009 survey, the number of institutions has increased by more than threefold, while the number of courses has risen by more than fourfold. By analysing the list of courses offered and their organisations,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into the manner in which schools are approaching multicultural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Firstly, there is a lack of emphasis on fostering multicultural awareness, which would enable teachers to embrace diverse identities through a process of identity self-examination. Secondly, a significant number of courses concentrated on the comprehension of social and learner diversity. Thirdly, courses designed to enhance teachers' pedagogical abilities were provided across a range of subject areas, yet were not consistently accompanied by practical applications and exercises. Fourthly, a considerable number of courses were predicated on the assumption that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students constituted the 'object' of understanding. In order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s' expertise in multicultural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provide them with opportunities to engage in reflexive discourse concerning their own identities. Furthermore, they should be empowered to construct equitable and inclusive classroom communities. It is of the utmost importance that they engage in the organisation of on-the-job training courses, with the objective of developing practical skil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사범대학 다문화 교육 강좌 현황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범대학 다문화 교육 강좌의 현황과 과제
- IB PYP를 적용한 다문화 특별학급에 대한 사례연구
- 잠재계층 성장모형을 활용한 중도입국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삶의 만족도 변화 유형 및 예측요인 탐색
- 한국 다문화교육의 질적연구 지식 패러다임 분석: Lather의 분류방법을 중심으로
- 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 진단도구 개발
-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청소년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모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우울 및 공격성을 매개로 또래지지에 미치는 영향 : 대처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와 성차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