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산업재해 중증외상 환자의 주 상해 부위에 따른 제 특성과 간호중재 분석
이용수 174
- 영문명
- Analysis of Nursing Interventions for Severe Occupational Accident Trauma Patients Based on Major Injury Site
- 발행기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 저자명
- 김무성 김혜진
- 간행물 정보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제33권 제4호, 173~18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nalyzed nursing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severe industrial accident trauma who visited  the trauma resuscitation department of a regional trauma center using the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NIC)  system. Methods: Among the 15,721 patients who visited the regional trauma center at U University Hospital in U  City from January 1, 2021 to December 31, 2022,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114 patients with severe industrial  accident trauma who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reviewed. Nursing interventions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using the NIC system based on the patients` main injury site. Results: A total of 3,247 nursing interventions(classified  into five areas, 17 groups, and 69 intervention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main injury site.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nursing interventions were physiological: complex. Next, safety, physiological: basic, behavioral, and  health system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in that order.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nursing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severe occupational accident trauma. These findings may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standardized nursing interventions and the overall quality of nursing care. 
                    영문 초록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Factors influencing Handgrip Strength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SBAR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아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 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면역항암제 치료 중인 암환자의 지지적 간호 요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