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련 의료사회복지사 역량 개발을 위한 의료사회복지사 역량 관련 해외 문헌고찰
이용수 291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의료사회복지학회
- 저자명
- 김정화
- 간행물 정보
- 『건강과 사회복지』제1권 제1호, 133~15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련 의료사회복지사 역량 개발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5개의 역량 관련 해외 연구물들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의료사회복지사 수련교육과정에 반영된 역량과 해외 문헌들에서 도출된 역량의 영역과 내용이 유사하였다. 둘째, 의료사회복지사의 역량 체계는 기본 역량, 숙련 단계별 역량, 주요 의료 환경 및 질병 영역별 역량 순으로 체계화하여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옹호, 체계 분석, 연계 및 개발과 관련한 의료사회복지사의 역량 내용 개발이 요구된다. 넷째, 의료사회복지사로 진입하기 전 의료 환경에 대한 이해와 의료 현장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정체성에 대한 통찰력을 기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통합 의료 환경에서의 의료사회복지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건강 관리 패러다임에 대한 이해와 건강 관리 실천 교육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viewed five intern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studies to explore directions for competency development among health social workers trainee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petencies reflected in Korea's health social worker training curriculum were similar to the competency derived from the overseas literature. Second, the competency framework for health social workers needed to be systematically developed to include basic competencies, competencies based on skill levels, and competencies specific to major healthcare settings and disease areas. Third, it was necessary to develop detailed competencies related to advocacy, system analysis, linkage, and development. Forth, before entering the field as a health social worker, education was needed to foster an understanding of the healthcare environment and insight into the role and identity of social workers within healthcare settings. Fifth, to strengthen the competencies of health social workers in integrated healthcare environments, it was essential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evolving healthcare paradigms and to enhance helathcare practical competenc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토픽모델링(LDA) 분석을 이용한 노인일자리사업 연구동향 분석 : 노인일자리 종합계획 제1기(2013-2017), 제2기(2018-2022) 중심으로
- 장기요양요원의 소득 결정요인 분석에 대한 연구: 소득분위별 차이를 중심으로
- 지역사회통합돌봄의 지역사회 적용 모델 비교 연구 : 서울과 부산 사례를 통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