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elective Strengthening of the Subscapularis Muscle: A Comparative Study
이용수 2
-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김경모 하성민
- 간행물 정보
- 『재활치료과학』제13권 제4호, 91~9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method for selective activation of the subscapularis muscle among the following three strengthening techniques in healthy individuals.
Methods : Fifteen healthy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muscle strength and electromyography (EMG) data were collected using handheld dynamometry and surface EMG tools. To compare the subscapularis strength and pectoralis major muscle activity using the three methods,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repeated measures was used, with the level set at .05.
Results :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scapularis muscle strength were observed between the three methods (F = 51.318, p < .05).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elly press and bear hug and between the belly press and side-lying wiper internal rotation (padj = .00). In the pectoralis major EMG data,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among the three methods (F = 61.679, p < .05). The largest increase in muscle activity was observed with the belly press, and the lowest activity was noted with SWI (padj = .00).
Conclusion : The best method for selectively evaluating or improving subscapularis muscle strength was SWI.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recommend that clinicians perform SWI to accurately evaluate and improve impaired subscapularis muscle strength.
영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건강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배꼽 누르기 ,곰 껴안기 옆으로 누운 자세의 ,와이퍼 운동 중 어떠한 운동 방법이 어깨밑근을 선택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15명의 건강한 피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고, 근력과 근전도 데이터는 휴대용 근력 측정기와 근전도기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세 가지 운동 방법 간의 어깨 안쪽 돌림근 근력과 큰가슴근의 근활성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반복측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결과 : 세 가지 운동 방법 간에 어깨 안쪽돌림근 근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F = 51.318, p <.05). 곰 껴안기 운동과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와이퍼 운동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배꼽 누르기와 곰 껴안기, 배꼽 누르기와 옆으로 누운 자세의 와이퍼 운동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adj = .00). 큰가슴근의 근전도 데이터에서도 세 가지 방법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 = 61.679, p < .05). 가장 큰 근육 활동의 증가는 배꼽 누르기 운동에서 관찰되었으며, 가장 낮은 활동은 옆으로 누운 자세의 와이퍼 운동이었다(p adj = .00).
결론 : 어깨밑근의 근력을 선택적으로 평가하거나 개선하기 위해서는 옆으로 누운 자세의 와이퍼 운동이 최적의 운동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가들은 손상된 어깨밑근의 근력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옆으로 누운 자세의 와이퍼 자세 또는 운동()에서 시행하는 것을 권장한다.
목차
Ⅰ. Introduction
II. Methods
III. Result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성 기술 및 협동수행력 평가척도(Social Skills and Cooperative Performance Scale, SCP Scale) 문항개발 및 가상현실 기반 협동게임에서의 적용
- 지역사회 거주 고령 부부의 일상생활활동 제한과 삶의 질: 사회참여의 조절효과와 부부 상호의존성
- K-DRIPS (Korean-Drooling Infants and Preschoolers Scale)로 확인한 뇌성마비 아동의 침흘림 특성
- 중장년층의 사회적 고립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연하장애 보호자 교육 프로그램이 보호자의 간병 지식과 부담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Selective Strengthening of the Subscapularis Muscle: A Comparative Study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