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사회 거주 고령 부부의 일상생활활동 제한과 삶의 질: 사회참여의 조절효과와 부부 상호의존성
이용수 200
- 영문명
- Limitation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 Couple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and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 발행기관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배수영 박혜연
- 간행물 정보
- 『재활치료과학』제13권 제4호, 25~4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자기 -상대방 상호의존성 조절모형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고령부부의 일상생활활동 제한 정도와 삶의 질 간의 상호의존적인 연관성과 사회참여가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22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에 응답한 65세 이상 노인 부부 1,007쌍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결과변수는 전반적인 삶의 질, 독립변수는 기본적 및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의 제한 정도, 조절변수는 사회참여였다.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조절모형을 사용하여 결과변수와 독립변수 사이에서 조절변수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결과 : 전체 대상자 중 남성의 평균 연령은 77.44세, 여성의 평균 연령은 73.64세였다. 남성 노인의 삶의 질은 남성 본인의 기본적 및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의 제한 정도와 부정적 연관성이 있었다. 그에 반해 여성 노인의 삶의 질은 여성 본인과 남성 배우자의 기본적 및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의 제한 정도와 부정적 연관성이 있었다. 기본적 및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제한과 삶의 질 사이에는 사회참여의 조절 효과가 없었으나 여성 노인에게 있어 사회참여는 본인과 배우자의 삶의 질과 긍정적인 연관성이 있었다. 그러나 남성 노인에게는 본인의 사회참여만 삶의 질과 긍정적인 연관성이 있었다.
결론 : 연구 결과 ,고령 부부에서 본인과 배우자의 사회참여가 일상생활활동 제한 정도와 삶의 질 간의 연관성에 조절 효과는 없었으나, 여성의 사회참여는 본인과 배우자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고령 부부의 삶의 질 향상에 사회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회참여를 유지하고 증진시킬 수 있는 지역사회 환경 및 지지체계 구축이 고령 부부의 지역사회 거주에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limitation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Quality of Life (QoL) among older couples, interdependence between spouses was considered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Methods : Data were extracted from 1,007 older couples through a panel survey. The dependent variable was QoL,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limitations in Basic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BADL and IADL, respectively). Social participation was used as the moderating variable. The APIM moderation model was us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Results : The QoL for males was associated with limitations in their BADL and IADL, whereas that for females was associated with limitations in BADL and IADL of both themselves and their spouses. No moderating effect was observed in term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social participation of female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QoL of both themselves and their spouses. In older males, social participation was solely associated with their own QoL.
Conclusion : Study findings indicate the importance of social participation in improving the QoL of older couples and suggest that creating supportive community environments that encourage social participation is necessary to enable older couples to continue living in their commun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성 기술 및 협동수행력 평가척도(Social Skills and Cooperative Performance Scale, SCP Scale) 문항개발 및 가상현실 기반 협동게임에서의 적용
- 지역사회 거주 고령 부부의 일상생활활동 제한과 삶의 질: 사회참여의 조절효과와 부부 상호의존성
- K-DRIPS (Korean-Drooling Infants and Preschoolers Scale)로 확인한 뇌성마비 아동의 침흘림 특성
- 중장년층의 사회적 고립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연하장애 보호자 교육 프로그램이 보호자의 간병 지식과 부담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Selective Strengthening of the Subscapularis Muscle: A Comparative Study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