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대학 교재에 대한 분석
이용수 9
- 영문명
- An Analytic Study on the College Textbooks for the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대균 김은영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권 제1호, 93~10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학에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유아문학교육 강좌는 대학 교재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유아문학 관련 대학 교재는 유아문학교육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유아교육계에서 유아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1∼2권에 지나지 않던 유아문학 관련 대학 교재가 최근 5년 사이에 10권 가까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들 유아문학 관련 대학 교재에 대한 체계적 분석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유아문학 관련 대학 교재의 편집 측면과 내용 측면을 구체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유아문학교육에 필요한 대학 교재의 개선 방향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영문 초록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llege textbooks for the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and grope the way for improvement, especially in compilation and conten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keep the balance of theory and practice in the contents of college textbooks for young children`s literature because seeing and listening are more important than reading in young children`s literary activities. Second, it is needed to improve the editing technique such as blank space, visual arrangement, the style of writing, and the picture of book cover because college students want higher level of editing and designing. Third, it is very important for textbooks to be written in terms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The object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is to bring up the young children`s literary interests rather than to be used in the other subjects such as mathematics, science, and moral education. Fourth, the ratio of teaching materials which are based on the multimedia technique should be increased because young children are more responsive to audio-visual materials than ordinary books. Fifth, the contents for creative writing are to be included in textbooks because college students need to practice the creative power of writing new stories which are based on young children`s interest and need.
목차
Ⅰ. 서 론
Ⅱ. 유아문학교육 교재의 비교 분석
Ⅲ.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Feasibility and Efficacy Study of an Integrated Computer-Based Auditory Training Program (MalGui) in Newly Fitted Hearing Aid Users
- Auditory Training in Children Wearing Hearing Aids and/or Cochlear Implants: A Scoping Review Mapping the Diversity of Intervention Types and Outcome Measures
- Hearing Loss Index and Aging-Based Forecasti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