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 밖 청소년의 성인기 이행 과정에서 경험하는 취약성과 학교 중단 의미 변화에 대한 종단적 탐색 : 20대 중후반 청년들을 중심으로

이용수  7

영문명
The Longitudinal Exploration of Vulnerabilities Experienced by Out-of-School Youth and the Changing Meanings of School Dropout in the Transition to Adulthood : Focusing on Young Adults in Their Mid-to-Late Twenties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조혜영 김희진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27권 제3호, 1~3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교를 중단한 후 10여 년이 지난 20대 중후반 청소년들이 성인기 이행과정에서 경험하는 취약성과 학교 중단의 의미 변화를 종단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부터 2023년까지 학교 밖 청소년실태조사에 참여해 온 10명의 면접 자료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이들은 진학, 진로, 구직 과정에서 취약성을 경험하였다. 우선, 구직 과정에서 학교 중단 이력이 주는 불리함, 대학 진학시 정보 부족, 안정적 진로 설정과정에서 경쟁력 취약 등을 경험하였다. 그리고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도 취약성을 경험하였다. 학창시절 친구관계 부재로 인한 좁은 인간관계, 학생 문화 부재로 인한 소외감 경험, 사회에서는 주변의 부정적 인식에 대한 해명 과정에서 피로감과 좌절을 느끼며, 실패자나 낙오자로 낙인찍히지 않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갖고 있었다. 10여년 이상 장기적 삶의 궤적에서 학교중단 관련 의미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이나 주변 상황, 개인의 신상 변화, 진로 설계 과정 등에서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 사이에서 유동적으로 나타나거나 양가적 감정을 드러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종단적 탐색이 제시하는 시사점으로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권리 기반 접근과 취약성을 극복하고 긍정적 성장을 보이는 사례들을 통한 지원방안 모색이 논의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longitudinally analyze the vulnerabilities experienced and the changing meanings of school dropout for young adults in their mid-to-late twenties, who left school over a decade ago.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interview data of 10 participants from the Out-of-School Youth Survey conducted between 2018 and 2023.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hese individuals experienced vulnerabilities with continuing education, career planning, and job seeking. Specifically, they faced disadvantages during job searches due to dropping out of school, lacked information when applying to universities, and found it difficult to compete while trying to establish a stable career path. They also faced disadvantages in socio-cultural aspects. For example, they had few social connections because they lacked friendships during their school years, felt isolated due to the absence of a student culture, and felt tired and frustration from explaining themselves to society's negative perceptions. They also felt the burden of having to make extra effort to avoid being labeled as failures or dropouts. At different times, for more than a decade of their lives, the meaning of school dropout fluctuated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s depending on various circumstances, including personal changes and career planning processes. This exploration suggests the importance of a rights-based approach to out-of-school youth, as well as the need to explore support strategies that can help overcome vulnerabilities and foster positive growth, based on successful cases.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학교 밖 청소년의 취약성 논의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혜영,김희진. (2024).학교 밖 청소년의 성인기 이행 과정에서 경험하는 취약성과 학교 중단 의미 변화에 대한 종단적 탐색 : 20대 중후반 청년들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27 (3), 1-36

MLA

조혜영,김희진. "학교 밖 청소년의 성인기 이행 과정에서 경험하는 취약성과 학교 중단 의미 변화에 대한 종단적 탐색 : 20대 중후반 청년들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27.3(2024): 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