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MP Tension Flow 리듬의 심리발달적 의미와 표현 매체의 임상적 활용에 관한 이론적 고찰
이용수 327
- 영문명
- Theoretical Inquiry into the Psycho-developmental Significance of KMP Tension Flow Rhythms and Their Clinical Application in Expressive Media
- 발행기관
- 한국표현예술심리상담학회
- 저자명
- 남희경
- 간행물 정보
- 『표현예술심리상담연구』제2권 제2호, 5~3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Kestenberg Movement Profile(KMP)는 정신역동적(psycho-dynamic) 관점에서 몸의 언어를 관찰하고 분석하는 움직임 평가시스템이다. 그중 Tension Flow Rhythms(TFR)은 생애 초기 5년간 신체리듬으로 발달적 경과를 보여주는 하나의 지표이며, 이는 애착 및 정서발달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연구는 TFR 신체 리듬의 심리 발달적 의미를 살펴보고, 표현예술매체를 통해 TFR을 임상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이론적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심리발달 이론의 문헌 고찰을 통해 첫째, TFR 신체리듬의 심리발달적 의미를 살펴보았고, 둘째, 심리발달의 촉진을 위한 TFR기반 표현예술 매체의 적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TFR 이론을 새롭게 조명해봄으로써 임상 현장에서 내담자의 신체언어를 심리발달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심리발달의 촉진을 위해 표현예술 매체를 체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향후 TFR 이론 기반으로 표현예술심리상담 사례연구와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기대해본다.
영문 초록
The Kestenberg Movement Profile(KMP) is a movement assessment system that observes and analyzes the language of the body from a psycho-dynamic perspective. Among its components, Tension Flow Rhythms(TFR) serve as an indicator of developmental progress during the critical early years of life, specifically within the first five years, and are closely linked to attachment and emotional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al significance of TFR and to theoretically investigate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FR through expressive arts media. To achieve this, a literature review of various psychological development theories was conducted. First,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al implications of TFR were examined. Second, the study sought ways to apply TFR-based expressive arts media to facilitate psychological development. By illuminating TFR theory, this research provide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clients'
body rhythms from a psychological developmental perspective in clinical settings and for systematically utilizing expressive arts media to promote psychological development. It is anticipated that future research will lead to case studies and programs developed based on TFR theory in the field of expressive arts therapy.
목차
I. 서론
II. 본론
II.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