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교사의 신체 건강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회지를 중심으로
이용수 31
- 영문명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hysical Health: Focusing on Korean Peer-Reviewed Journals
- 발행기관
- 한국생애학회
- 저자명
- 이유승 오수정 고윤지 변수연
- 간행물 정보
- 『생애학회지』제14권 제3호, 139~16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concerning the physical health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CE) teachers in South Korea and propos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all, 64 studies on ECE teachers’ physical health, published in Korean peer-reviewed journals from 2000 to the present, were analyzed focusing on research period, topic, subject, method, and field. This study identified five key findings. First, although studies on the physical health of ECE teachers began to increase from 2006, consistent publication trends were observed only after 2009, with more than five studies published each year in 2008, 2011, 2016, and 2018. However, the scope of research was limited. Second, mos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childcare teachers, with a greater emphasis on pre-service teachers than on kindergarten teachers. Third, most research fields pertained to early childhood, with additional studies conducted in health science, physical education, and nutrition. Fourth, primarily questionnaires were employed as survey methods. Fifth, although the research topics broadly addressed health content related to physical health, they predominantly focused on a limited number of variables. Based on these finding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trends and actual conditions related to ECE teachers’ physical health of the research trends and actual conditions related to ECE teachers’ physical health was achieved. Furthermore, there is a need for program development and policy research focusing on the physical health of ECE teachers by considering and improving their work environments from various perspective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유아교사의 신체 건강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회지를 중심으로
- 유아기 가족 상호작용과 아동의 자아탄력성 간의 종단적 관계에서 아동의 정서조절과 또래애착의 순차적 매개효과
-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 세대의 가족관계 특성 및 가족관계 만족도 변화궤적
- 어머니의 어릴 적 놀이 경험과 여가만족이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초단시간 방문요양보호사의 돌봄노동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부모의 동기강화양육과 동기저해양육이 청소년의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종단적 경로: 그릿의 매개 역할
-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성이 청소년 자녀의 그릿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성과 주의집중의 순차적 매개효과
- 아동기에서 초기 청소년기로의 전환기 동안 학업열의와 스마트폰 의존도 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검증
- 노인 상담 자원봉사자의 노인상담 경험에 대한 맥락적 이해: 근거이론적 접근
-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유아 놀이성 간의 관계에서 교사 역량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