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부모와 교원의 경험을 통해 살펴본 학부모 학교참여의 실태와 쟁점: 서울특별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174
- 영문명
- The Reality and Issues of Parental Participation in School through the Experiences of Parents and Teachers: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 발행기관
- 한국학부모학회
- 저자명
- 황성희 안아영 김명희
- 간행물 정보
- 『학부모연구』제11권 제4호, 101~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부모의 학교참여에 관한 학부모와 교원의 경험을 분석하여 학부모 학교참여의 실태와 주요 쟁점을 파악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6개 초등학교를대상으로 학부모, 교사, 그리고 학교관리자를 참여자로 선정하여 초점집단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 학교참여의 목적에 대해 실질적으로 기대하는 것에는 학부모와 교원 간 간극이 존재했다. 둘째, 학부모와 교원 모두에게 학부모 학교참여는 학교교육을 지원하는 활동으로 이해되고 있었다. 셋째, 학부모의 학교참여 정도 및 학부모 소통 정도를 둘러싸고 학교 구성원 간에는 서로 다른 이해와 해석이 공존했다. 넷째, 학부모의 학교참여도는 학부모 임원, 학교관리자, 교사의 영향력에 따라 변동성이 컸다. 다섯째, 참여자들이 학부모 학교참여에 대해 부여하는 긍정적 의미는 학부모 학교참여의 교육적 성과를 드러내는 중요한 신호로 해석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부모의 주체적 학교참여에 관한 논의 및 과제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and key issues of parental participation in school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parents and teachers. To achieve thi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ents, teachers, and school managers from six elementary schools under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gap existed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expectations regarding parental participation in school. Second, for both parents and teachers, parental participation in school was seen as a supportive activity for school education. Third, differing understandings and interpretations were observed among school members concerning the degree of parental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arent association executives, school managers, and teachers. Fifth, participants recognized the positive aspects of parental school participation as a meaningful indicator of its educational benefi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ions and tasks for fostering parents' autonomous participation in schools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학부모와 교원이 경험한 학부모 학교참여의 실태와 쟁점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