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의 탈시설화 과정에서 장애인 인권 경험 연구의 질적 내용분석
이용수 147
- 영문명
-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Studies on Human Rights Experienc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During the Deinstitutionalization Process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김미숙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5호, 45~7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탈시설화 과정에서 주거유형(시설거주, 전환주거, 지역사회 거주)에 따른 장애인의 인권 경험을 비교 분석하여, 각 유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인권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의 인권을 증진할 수 있는 정책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장애인 탈시설 경험을 다룬 33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질적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인간 존엄성, 자기결정권(자유권), 사회적 존재(사회권)라는 세 가지 인권 주제가 도출되었고, 주거유형에 따라 인권의 양상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탈시설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거유형별 인권 이슈를 정리하고, 「탈시설 로드맵」에 명시된 6개 핵심과제와 연계하여 장애인의 인권적 삶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human rights experienc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cross different housing types (institutional care, transitional housing, and community-based living) during the deinstitutionalization process, to identify the key human rights issues in each type, and to propose policy improvements that can enhance the human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33 studies that explored the experienc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the deinstitutionalization process. The analysis identified three human rights themes: respect for human dignity,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civil rights), and social existence (social rights), with different human rights patterns emerging depending on the housing typ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addresses human rights issues for each housing type in the deinstitutionalization process and proposes policy improvements to ensure human rights-based liv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line with the six core tasks outlined in the “Deinstitutionalization Roadmap.”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