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 교사의 헬스리터러시(Health literacy) 양상
이용수 191
- 영문명
- Health liter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 저자명
- 유주연(Ryu, Jooyeon) 한영미(Han, Youngmi)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9권 제2호, 27~4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영유아 교사의 헬스리터러시 수준 및 이와 관련된 교사의 개인적, 상황적 변인을 파악함으로써 영유아 교사의 일반적인 헬스리터러시 양상을 살펴 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포함한 영유아 교육기관에서 0~5세 영유아 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175명이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연구도구는 세계보건기구 유럽 지역 사무소가 개발한 HLS-EU-Q47(S0rensen et al., 2012)을 Pelikan와 Ganahl(2017)가 16개 설문 문항으로 축소한 버전(HLS-EU-Q16)이다 본 연구 결과, 헬스리터러시가 적정 수준인 교사가 적정 수준이 아닌 교사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별로는 정보 이해 관련 문항, 정보 획득 관련 문항, 정보 평가 관련 문항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육정도가 높아지면 헬스리터러시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 경력이 6년 미만인 경우에 적정 수준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연령, 기관 유형, 담당 학급 연령에 따라서는 헬스리터러시에 일정한 경향성이 드러나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 및 영유아의 건강 증진을 위한 하나의 요건으로 영유아 교사의 헬스리터러시를 제안하고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eneral aspects of health literacy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by examining the health literacy level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longside relevant personal and situational fact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5 teachers in charge of children aged 0-5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cluding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The research tool used in this study is a version (HLS-EU-Q16) revised by Pelican and Ganahl (2017) to 16 questionnaires (Sørensen et al.) developed by the European Regional Office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Findings revealed that a greater proportion of teachers exhibited appropriate levels of health literacy compared to those with inadequate levels. Questions related to information understanding, information acquisition, and information evaluation were highest in order. Health literacy tended to increase with higher levels of education. However, no significant trends were observed in relation to age, years of experience, type of institution, or the age group of children taugh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d and explored early childhood teachers' health literacy as a requirement for improving the health of young children and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Speech Perception in Individuals with Normal Hearing and Hearing Loss: A Multimodal fNIRS study
- Analysis of Students' Eye Movement and Understanding Based on the Presentation Methods of Visual Models for Addition and Subtraction Algorithms
- Potential Biomarkers in Serum for Ischemic Strok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