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교육에 미친 외국 교육원조의 영향: 충남대-GTZ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용수 33
- 영문명
- The Impact of Foreign Aid on Korean Education: The Case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 저자명
- 박환보
- 간행물 정보
- 『국제이해교육연구』제19권 제2호, 165~19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해방 이후 한국 교육 형성에 있어 외국의 교육원조가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70-80년대 외국의 교육원조 사업 중 한 사례인 충남대학교-GTZ 협력 사업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독일 교육원조가 한국의 공업계 교원양성 교육과정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당시 충남대 측의 사업책임자가 소장하고 있던 사업 관련 자료를 비롯해서, 사업에 참여한 독일인 전문가와 한국인 교수가 작성한 논문, 당시의 신문기사, 정부 공문서 등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충남대-독일 GTZ 프로젝트는 기자재와 장비 활용이라는 기술적인 측면 외에 공업계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개선에는 많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사업 기간 중에 강조되었던 연구와 실험실습도 예산지원이 있었던 사업 기간 내에서만 제한적으로 진행되었고, 현장실습이나 연구과제 수행과 같은 독일식 교육과정이 수용되지 않았다. 이는 1950-60년대에 비해 1970-80년대는 어느 정도 제도교육의 기반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외국 교육원조의 영향력도 제한적이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ole of foreign educational aid in shaping Korean education after liberation. Through a case analysis of one of the foreign educational aid projects in the 1970s and 1980s, th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GTZ cooperation project, this study analyzes how German educational aid specifically changed the curriculum for teacher training in the engineering industry in Korea. To do so, we analyzed project-related materials in the possession of the project director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s well as papers written by German experts and Korean professo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newspaper articles from the time, and government docum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German GTZ project did not have much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for engineering faculty training other than the technical aspects of utilizing the equipment and facilities. Research and laboratory training, which were emphasized during the project, were also limited to the period of the project, and German-style curricula such as field trips and research projects were not adopted. This suggests that the impact of foreign educational aid was limited in the 1970s and 1980s compared to the 1950s and 1960s, as institutionalized education was already in place to some extent.
목차
Ⅰ. 서론
Ⅱ. 충남대 공업교육대학의 등장
Ⅲ. 충남대-GTZ 프로젝트의 추진 과정
Ⅳ. 충남대 공업교육대학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논의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Chinese Marxism studies Vol.2 No.6 Contents
- 发端·重点·旨归·超越:马克思早期意识形态批判思想探赜
- 马克思民主思想及其当代价值——基于《法兰西内战》文本分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