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발 제품의 사용적합성 평가 지침 개발 및 시험적용
이용수 29
- 영문명
- Development and Test Application of Guidelines for Evaluating the Usability of Artificial Foot Products
- 발행기관
- 표준인증안전학회
- 저자명
- 정성배 육선우 최기원 박상수
- 간행물 정보
- 『표준인증안전학회지』제14권 제2호, 1~1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공발은 종아리 혹은 넓적다리 절단 장애인들이 착용하여 보행을 가능하게 하는 장애인 보조기기이다. 인공발을 비롯한 의지 및 보조기 제품은 국제적으로 의료기기로 분류되나, 한국에서는 아직 의료기기가 아닌 장애인 보조기기로 분류되어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관리 하에 있는 모든 의료기기는 2021년부터 국제 표준인 IEC 62366-1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가 의무화되어 있으나, 인공발 등의 의지 및 보조기 제품은 아직까지 사용적합성 평가가 의무화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발이 국제적으로 의료기기인 점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에서도 사용적합성 평가가 필요하다고 보고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의 국제 표준인 IEC 62366-1을 적용하여 인공발 제품의 사용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의지ㆍ보조기 전문가 4명으로 구성된 자문위원단이 중심이 되어 실내 시나리오에서 10개, 실외에서 6개의 과제를 설정한 후, 각 과제마다 안전성, 유효성, 만족도 등의 사용적합성 요소를 발굴하여 총 52개의 요소로 구성된 사용적합성 평가지침을 개발하였다. 하나의 인공발 제품을 대상으로 종아리 절단 장애인 3명을 통해 사용적합성 평가 지침을 시험 적용하였다. 이 제품의 사용적합성 평가는 5점을 만점으로 평균 3.42점을 받았으며, 평지에 비해 비포장도와 미끄러운 타일에서 더 낮은 점수를 받았다. 본 연구의 사용적합성 평가지침 개발의 경험은 다른 의지ㆍ보조기 제품들에 대해서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Artificial foot is an assistive device worn by calf or thigh amputees to enable walking. Orthotic prosthesis including artificial foot are internationally classified as medical devices, but in Korea, they are still classified as assistive devices for the disabled rather than medical devices. All medical devices under the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regulation are required to conform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IEC 62366-1 since 2021. However, prosthetic orthotic products such as artificial foot are not classified as medical devices, so their usability test requirement has not yet been mandated. In this study, four prosthetic orthosis experts formed an advisory committee and applied IEC 62366-1,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medical device usability evaluation, to develop the usage scenarios for artificial foot products, in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After selecting 16 tasks in usage environments, we developed guidelines consisting of 52 questionnaires to determine the product's usability, including safety,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Three lower-leg amputees participated in the test application and responded to the survey of the guidelines for a prosthetic foot product while performing 16 tasks. this product received an average score of 3.42 out of 5, and the usability evaluation score was lower on unpaved roads and slippery tiles than on flat surfaces. It is expected that the experience in developing user suitability evaluation guidelines for artificial feet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fully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usability evaluation guidelines for other prosthetic and orthotic products.
목차
Ⅰ. 서 론
Ⅱ.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Ⅲ. 사용적합성 시험 평가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HP와 IPA 기법을 활용한 서비스 표준화 전략에 관한 연구
- 표준산업분류 기반의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산업 시장규모 추정 방안에 관한 연구: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중심으로
- 무인매장에 대한 소비자의 안전 인식이 신뢰, 만족 및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IT개발 오프쇼어 아웃소싱 협력사 선정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 인공발 제품의 사용적합성 평가 지침 개발 및 시험적용
- Testing Framework of Polyimide-Based High Temperature Resistant Composite Materials for Aerospace Applications
- 2023년 표준안전공모대전: 표준제안 수상작품 (한국표준협회장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