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승진을 희망하지 않는 초등교사의 연구학교 근무 중 소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이용수 251
- 영문명
- A narrative study on the burnout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do not aspire to promotion while working in a research school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저자명
- 정형수
- 간행물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제34권 제1호, 95~12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승진을 희망하지 않는 초등교사가 교사 승진 체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연구학교에서 근무하며 어떤 소진을 경험하였는지를 내러티브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학교인 희망초등학교(가명)에 근무하고 있으나 승진을 희망하지 않는 장원영 교사(가명)와 안유진 교사(가명)를 대상으로 내러티브적 대화와 면담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장원영 교사는 교사로서의 성장에 대한 기대를 바탕으로 연구학교에서 의욕적으로 근무하고자 하였지만 평교사로서의 삶을 추구하는 자신의 가치관과 연구학교의 승진 지향적 문화의 충돌, 그리고 교직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상식이 연구학교로 인해 무너지는 경험을 하며 소진되었고, 이러한 경험을 통해 내적인 단단함을 가진 교사로 성장하였다. 그리고 안유진 교사는 승진을 원하지 않을 뿐 연구학교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자 했지만 교육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을 연구학교라는 이유로 당연히 받아들여야 하는 현실과 비민주적 학교 운영, 그리고 학교에 헌신할 동기의 부재로 소진을 겪었고, 이러한 과정에서 업무를 적당히 처리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답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두 교사의 경험의 의미를 3차원적 내러티브 공간에서 살펴보고 연구학교 및 교사 소진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rough narrative inquiry the burnout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do not aspire to promotion while working in a research school. To achieve this, narrative dialogue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o teachers, Jang Won-young (pseudonym) and Ahn Yoo-jin (pseudonym), both employed at Heemang Elementary School, who expressed no desire for promotion. The findings revealed that Jang Won-young, initially enthusiastic about working at the research school based on expectations for professional growth, encountered exhaustion. This was attributed to the conflicting culture of the research school, which emphasized promotion, and her own values seeking a fulfilling life as an ordinary teacher. The clash with pre-existing notions about the teaching profession, shattered due to the research school's influence, led to a sense of depletion. Through these experiences, Jang Won-young developed internal resilience. And Ahn Yoo-jin, while not aspiring for promotion, aimed to excel in her given role at the research school. However, she faced exhaustion due to the acceptance of irrational situations as an inherent part of the research school's reality, an undemocratic school environment, and a lack of intrinsic motivation to dedicate herself to the school. Throughout this process, her ability to handle tasks appropriately improved.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experiences of both teachers within a three-dimensional narrative space. Additionally, the study provided insights related to research schools and teacher exhaustion, offering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in this are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장원영 교사 이야기
Ⅴ. 안유진 교사 이야기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복수전공은 누가, 어떻게 선택하는가? 젠더, 사회경제적 지위, 제도적 자원의 상호작용
-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자녀의 기대 직업 지위 차이 변화: 2000-2022
- 승진을 희망하지 않는 초등교사의 연구학교 근무 중 소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건강 요인이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핀란드, 미국, 한국 학생의 기대교육포부 수준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부모의 SES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 사립초등학교 졸업이 대학 입시 결과에 미치는 영향
- 청년과 사회이동: 교육, 직업 그리고 자산
- 시민적 가치 규범에 대한 청소년의 태도 분석: 시민성 함양을 위한 학교 및 가정환경 내 지원 방향 탐색
- 소규모학교 교육과정 운영 방안: 학교를 통한 사회적 가치의 실현
- 교원의 역량 개발을 위한 비형식 학습 참여 효과 분석: PIAAC 자료를 활용한 한국, 미국, 핀란드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