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농촌지도직이 지각한 프로그램 특성, 조직몰입, 사회적 지지 및 현업적용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7
- 영문명
-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rogram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ommitment, Social Support, and Training Transfer perceived by Agricultural Professional
- 발행기관
- 한국성인교육학회
- 저자명
- 김대명 서범원
- 간행물 정보
- 『Andragogy Today』제26권 제3호, 27~5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농촌지도직이 지각한 프로그램 특성, 조직몰입, 사회적 지지 및 현업적용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는데 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농촌진흥청의 농업직무교육에 참여한 학습자 437명으로부터 양적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 직무교육에 참여한 학습자의 현업적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는 프로그램 특성과 사회적 지지, 조직몰입과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와 현업적용도, 프로그램 특성과 현업적용도, 조직몰입과 현업적용도의 경로 모두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농업직무교육에 참여한 학습자의 프로그램 특성과 현업적용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조직몰입과 현업적용도의 관계에서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농업직무교육에 참여한 학습자의 배경 특성에 따른 조절효과는 근무경력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Research was mainly conducted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ogram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ommitment, social support, and practical use perceived by rural leaders.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437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agricultural job education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at affect the practical use of learners participating in agricultural job education was significant in both program characteristics and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and field application, program characteristics and field application. Second, social support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gram characteristics and practical use of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agricultural job education, and social support also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practical use. Third,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agricultural job education was significant only in their working experience. The discussion was presen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