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셜미디어의 이용동기가 화장품제품의 광고 태도, 만족도, 공유의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의 인스타그램과 중국의 샤오홍슈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27
- 영문명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Usage Motivation on Cosmetics' Advertising Attitude, Satisfaction, Sharing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A Comparison between Korea Instargram and China Xiaohongshu
- 발행기관
- 한국OOH광고학회
- 저자명
- 서영 심성욱 조영
- 간행물 정보
- 『OOH광고학연구』제19권 제1호, 5~3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소셜미디어의 이용동기가 화장품제품의 광고태도, 만족도, 공유의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했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과 한국의 경우, 똑같이 이용동기 유형이 광고태도와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광고태도와 만족도는 정보에 대한 공유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이용동기 유형으로 중국은 오락성, 여가 보내기형, 대인관계 의존형, 정보중시형 등으로 4가지가 나타났고 한국은 타인의존 엔터테인먼트형, 타인 의존시간 보내기, 정보 중시형 등으로 3가지 유형이 나타났다. 셋째, 이용동기가 광고태도, 만족도, 공유의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는 한중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문화와 화장품 시장의 차이로 결과가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결과는 중국을 대상으로 한국 기업들의 화장품 마케팅 전략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effect of using motivation of social media on attitude for advertisement, satisfaction degree, intention for sharing and intention for purchasing of cosmetics products in Korea and China are compared in this research, and the verification is conducted. Therefore, the survey is carried out for 433 users from Korea and China.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effect of using motivation on attitude for advertisement and satisfaction degree are positive in both Korea and China. Furthermore, attitude for advertise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sharing degree of information, and satisfaction degree has positive impact on sharing degree. Secondly, the using motivations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in China, which are entertainment, recreation at leisure time, dependen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aying attention to message. While the using motivations are three types in Korea, which are entertainment depending on others, recreation depending on others and paying attention to message. Thirdly, there are differences on the effect of using motivations on attitude for advertisement, satisfaction degree, intention for sharing and intention for purchasing between Korea and China.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on the effect of using motivations on attitude for advertisement, satisfaction degree, intention for sharing and intention for purchasing between Korea and China. In other words, the results with differences are shown because of the differences of culture and cosmetic market between Korea and China. In addition, enterprises in Korea should consider behavior model of Chinese consumers when making marketing strategies for cosmetic market.
목차
Ⅰ. 연구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사회복지 종사자의 고객지향성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국내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 비폭력대화(NVC)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궐련형 전자담배와 연초에 대한 유해성 인식과 각종 담배 규제 방식에 대한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