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OOH 광고물 특성과 유형에 의한 효과 분석 연구: 설치 장소, 제품의 유형과 시장 내 위상, 정보의 소구방식 등을 중심으로
이용수 13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alysis of OOH Advertisements by Characteristics and Types
- 발행기관
- 한국OOH광고학회
- 저자명
- 유현재 /Hyunjae Yu 1 , 이민지 /Lee Minji 2 , 양웅 /YANG, WOONG 3
- 간행물 정보
- 『OOH광고학연구』제18권 제2호, 23~4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디지털은 소비자들을 설득하고 상품과 서비스를 판매하기 위해 가능한 수단을 동원해야 하는 기업, 정부 기관 혹은 여타 다수의 주체들이 집행하는 광고에도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옥외광고 (OOH)는 새롭게 시장에 선보이고 있는 디지털 기술들이 접목되어 소비자들을 위한 설득 과정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상황이며, 그 중요성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고. 그동안, 옥외광고 특히 디지털테크놀로지가 적용된 OOH 광고를 다루는 연구는 많았지만, 광고물에 노출된 후 광고가 의도하는 메시지와 이미지를 수용하는 직접적 대상인 소비자가 광고를 통해 어떠한 태도를 갖게 되며 제공된 정보에 의해 구매의도 혹은 구전의도 등을 경험하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경영학, 마케팅 연구 등 관련 분야에서 소비자들의 반응을 파악하기 위해 활용되는 시나리오 기법의 실험을 수행하여 디지털 OOH 광고물의 유형 및 특성에 따라 소비자들의 반응이 어떻게 상이하게 나타나는가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보된 결과는, 추후 각종 디지털 옥외광고의 활성화, 기업 등 예비 광고주 유치를 위한 자료 생산 등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영문 초록
Digital is also widely used in advertisements executed by companies, government agencies, or a number of other entities that must use means to persuade consumers and sell goods and services. Outdoor advertising (OOH) is actively being used in the persuasion process for consumers by combining newly introduced digital technologies in the market, and its importance is increasing. In the meantime,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dealing with outdoor advertising, especially OOH advertising with digital technology. However, additional research on consumer attitudes, purchasing intentions, and oral intentions on advertising is needed. In response, this study conducted experiments with scenario techniques used to identify consumer responses in related fields such as business administration and marketing research to examine how consumers' responses vary depending on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OOH advertisement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confident that it will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revitalization of various digital outdoor advertisements and the production of materials to attract prospective advertisers such as compan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Ⅵ. 한계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사회복지 종사자의 고객지향성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국내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 비폭력대화(NVC)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궐련형 전자담배와 연초에 대한 유해성 인식과 각종 담배 규제 방식에 대한 인식 비교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체중 편견 내재화와 낙인 대처 커뮤니케이션이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 행복의 재설계: 기능-지표 모형과 자기 수용의 건강 소통 함의
- 온라인 관계 지향성이 심리적 고통에 미치는 영향: 오프라인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