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한 국내 옥외광고 분야 연구의 경향 분석 : 2004년부터 2020년까지 『OOH광고학연구』를 중심으로
이용수 9
- 영문명
- The Big Data Analytics Regarding the ‘Journal of OOH Advertising Research’ Articles : From 2004 to 2020
- 발행기관
- 한국OOH광고학회
- 저자명
- 황서이 이명천
- 간행물 정보
- 『OOH광고학연구』제17권 제4호, 5~2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기법인 의미연결망분석을 활용하여 국내 옥외광고 분야 학술연구의 시기별 경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범위는 옥외광고 분야 대표적인 학술지인 ‘한국OOH광고학회’의 OOH광고학연구에 게재된 총 246편의 학술논문이며, 논문명, 초록, 주제어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시기적 범위는 OOH광고학연구가 창간된2004년 제1권 제1호부터 2020년 제17권 제3호로 설정하였고, 총 4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은오픈 소프트웨어인 R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0년대 중후반 국내 옥외광고 분야 연구는 광고와 디자인영역의 논의가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옥외광고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000년대 후반에는 미디어와 소비자 관련 연구가 등장한 반면, 디자인 영역은 점차 약세를 보였다. 2010년대 초중반에는 옥외광고에 대한 개념, 옥외광고법과 제도, 미디어 기술 도입에 주목하였고, 특히, 디지털 사이니지 등에 대한 논의가 강조되었다. 2010년대 후반에는 옥외광고에대한 논의가 실무적 차원에서 구체화 되었다. 이 시기에는 미디어, 디지털 사이니지 관련 연구는 플랫폼의 다양화 논의로발전하였고, 해외 옥외광고, 소비자 관련 논의는 세분화되어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Journal of OOH Advertising Research’ by Big Data analytic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46 academic articles which published Out-of-home advertising issues were analyzed by applying linguistic analysi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This study was analyzed from 2004 to 2020, divided into four peri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search in the field of Out-of-home advertising in Korea mainly focused on discussions on advertising and design in early period. In growing period, discussions on Out-of-home advertising began in earnest. And while media-related and consumer-related research have appeared, research in the design field has gradually declined. In transitional period, discussions on the concept of Out-of-home advertising, the Out-of-home advertising rules and Regulations, and the introduction of media technology gradually became stronger. In particular, discussions on digital signage were emphasized. During the leap period, research on media and digital signage developed into discussions on diversification of platfor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사회복지 종사자의 고객지향성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국내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 비폭력대화(NVC)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궐련형 전자담배와 연초에 대한 유해성 인식과 각종 담배 규제 방식에 대한 인식 비교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체중 편견 내재화와 낙인 대처 커뮤니케이션이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 행복의 재설계: 기능-지표 모형과 자기 수용의 건강 소통 함의
- 온라인 관계 지향성이 심리적 고통에 미치는 영향: 오프라인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