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극장 주요 관객층의 극장광고 유형별 접촉 정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Types of Cinema Advertis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requent Moviegoers
- 발행기관
- 한국OOH광고학회
- 저자명
- 강태중 이지현
- 간행물 정보
- 『OOH광고학연구』제6권 제1호, 97~11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극장광고의 유형을 여덟 가지로 구분하고, 이들 유형별로 극장을 이용하는 주요 관객층의 접촉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관객 집단의 영화 관람 동기와 영화 관람 횟수를 기준으로 전체를 세분 집단으로 구분, 이들 세분 집단별 극장광고 유형의 접촉률도 살펴보았다. 추가적으로 극장광고의 가장 대표적 유형인 스크린 광고의 접촉 정도와 관련하여 관객의 착석 행동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극장광고 각 유형의 접촉률은 예상보다 비교적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대표적인 스크린 광고의 접촉률은 90% 수준이었으며, 그 외 랩핑 광고, LCD 광고, 판넬사인 광고, 티켓 광고 등도 절반 또는 그 이상의 접촉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분집단별로 살펴본 접촉률의 경우, 집단에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스크린 광고가 가장 높은 광고 접촉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접촉률이 높은 광고 유형들은 집단별로 다소 상이한 차이를 보였다. 관객들의 착석 행동의 경우, 거의 대부분의 관객이 본 영화 상영 이전에 미리 자리를 잡고 앉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착석 이후에는 광고 등을 보거나 잡담을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current study aimed at studying how the exposure rate with cinema advertising of major moviegoers differs according to cinema advertising types(ad types below). For this, the study classified the cinema ad as eight types. And the moviegoers were divided by three groups in accordance with a motive of watching a movie, and a frequency of watching a movie, respectively.
The study has found the result that the exposure rates with various ad types were relatively high and the screen ad's exposure rate was above 90 percents especially. In case of a wrapping, LCD, panel, and ticket ad, these exposure rates were above the average value. The screen ad's exposure rate was high regardless of the group types of moviegoers. In the other ads, the results were showed very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group types of moviegoers. It means that the group types of moviegoers are important variable in the exposure rates with cinema advertising.
Finally, the study investigated the behavioral pattern of taking seat related to the exposure rate of a screen advertising that most moviegoers took seats in advance before showing a movie and also they used to see ads or have an idle talk after taking seats in a theater.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smart 시스템의 도입과 옥외광고 전문인력 양성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 간판시범가로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 지하철 광고회의주의가 광고 신뢰성 및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포스터광고 여성모델들의 신체에 대한 상향비교와 비만에 대한 두려움이 날씬한 신체 욕구와 우울 성향에 미치는 영향
- 옥외부스를 이용한 접합화가 이벤트와 후원 브랜드 간의 지각된 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 지하철 조명매체와 일반매체의 비교연구 -모서리형과 천정형 광고물의 효과를 중심으로-
- 극장 주요 관객층의 극장광고 유형별 접촉 정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매장의 환경적 요인이 소비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국내 옥외광고 선호에 관한 수용 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사회복지 종사자의 고객지향성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국내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 비폭력대화(NVC)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궐련형 전자담배와 연초에 대한 유해성 인식과 각종 담배 규제 방식에 대한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