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하철 조명매체와 일반매체의 비교연구 -모서리형과 천정형 광고물의 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Comparison between the Light Panel Media and the General (Non-lighted) Media of Subway Advertisement: Focusing on Type B and Type S
- 발행기관
- 한국OOH광고학회
- 저자명
- 양병화 /BYUNGHWA YANG 1
- 간행물 정보
- 『OOH광고학연구』제6권 제1호, 5~2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등장하고 있는 지하철 차내 조명광고매체의 효과를 분석하고 일반매체와의 비교를 통해 상대적 효과크기를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일반매체와 조명매체의 광고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알아보고 나아가 매체효과로서의 DEC 및 CPM을 통해 노출효과와 비용효용성의 상대적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조사시점에서 조명광고매체와 일반매체가 혼합 운영되고 있는 지하철 4호선을 대상으로 일대일면접을 통해 태도 및 노출도를 측정하였고 각 대상광고물의 DEC와 CPM을 산출하여 효과크기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지하철 차내의 기존매체보다 조명매체는 광고커뮤니케이션과 매체지표(DEC, CPM) 상에서 보다 효과적이라는 것을 밝혔으며, 특히 천정조명광고는 일반매체에 비해 약 20%의 노출효과와 평균 30%수준의 비용대비 효용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모서리조명의 경우 기존매체에 비해 약 10%이상의 노출효과가 기대되지만 비용대비 효용성은 다소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신규매체로서의 지하철 차내 조명광고를 고려하는 광고주들에게 광고의 목적별 매체집행에서 커뮤니케이션 및 비용 효용성의 관점에서 합리적인 매체선택이 가능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mparison between the light panel and the general media of subway advertisement. In particular, we analyze a communication effect and cost efficiency of two media types in subway-inside advertising, including type B (attached on inside corners between the ceiling and the shelf) and type S (attached on the ceiling in the inside of subway). To achieve the purposes, a survey was conducted by the random sampling method that equally assigned respondents in sex and age. we measured attitudes toward subway ads and the degreed of exposure applied in calculating DEC (Daily Effective Circulation) and CPM (Cost Per Thousand). we used four types of subway ads: the light panel of type B, the light panel of type S, the non-lighted (general) B type, and the non-lighted S typ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ype light panel was the most effective in the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as well as DEC and CPM which means the higher cost efficiency. Moreover, the S-type light panel had a higher exposure of 20% and a higher cost efficiency of 30% than non-lighted (general) types of ads. On the other hand, the B-type light panel had a higher exposure of 10% approximately, but its cost efficiency was less than non-lighted type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issue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과 연구문제
III.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smart 시스템의 도입과 옥외광고 전문인력 양성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 간판시범가로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 지하철 광고회의주의가 광고 신뢰성 및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포스터광고 여성모델들의 신체에 대한 상향비교와 비만에 대한 두려움이 날씬한 신체 욕구와 우울 성향에 미치는 영향
- 옥외부스를 이용한 접합화가 이벤트와 후원 브랜드 간의 지각된 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 지하철 조명매체와 일반매체의 비교연구 -모서리형과 천정형 광고물의 효과를 중심으로-
- 극장 주요 관객층의 극장광고 유형별 접촉 정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매장의 환경적 요인이 소비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국내 옥외광고 선호에 관한 수용 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사회복지 종사자의 고객지향성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국내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 비폭력대화(NVC)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궐련형 전자담배와 연초에 대한 유해성 인식과 각종 담배 규제 방식에 대한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