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정서문제 변화궤적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 및 주요 예측변인 검증
이용수 276
- 영문명
- Classifying Latent Classes and Testing Key Predictors of the Trajectory of Emotional Problems in Adolescence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장은아 정혜원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2권 제1호, 357~38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9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서문제 변화에 따른 이질적인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정서문제의 변화를 예측하는 주요 변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중1패널의 1∼5차년도 자료에 잠재계층성장분석(latent class growth analysis)을 적용하여 정서문제의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계층을 분류하였고, SEMforest 분석을 통해 정서문제 변화를 설명하는 상위 중요도 10개 변인을 탐색하였으며, 3단계 접근법(three-step approach)을 활용하여 주요 예측변인이 잠재계층 분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 정서문제 변화유형은 저수준 감소 후 상승(20.5%), 중수준 유지(58.8%), 고수준 유지(20.7%)의 3개 계층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SEMforest 분석 결과, 정서문제 관련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6개 변인과 더불어 기존의 연구에서 확인되지 않았던 4개 변인이 새롭게 도출되었다. 셋째, 주요 예측변인이 청소년의 정서문제 변화유형 분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행복감과 자아존중감, 그릿(흥미유지)은 상대적으로 정서문제 수준이 낮은 집단에 속할 확률을 높이는 변인이었고, 학업무기력(능동수행 결여)과 스마트폰 의존도, 부모양육태도(비일관성)는 상대적으로 정서문제 수준이 높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을 높이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정서문제 감소를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ssify latent classes of emotional problems in adolescence and to explore and test key predictors of change in emotional problems. To this end,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was applied to data from the first through fifth wav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panel of KCYPS 2018. SEM forest was used to explore the top ten most important variables explaining change in emotional problems, and the three-step approach was applied to examine how key predictors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ree latent classes in emotional problems during adolescence were classified: low-level decrease followed by increase (20.5%), middle-level maintenance (58.8%), and high-level maintenance (20.7%). Second, SEM forest analysis revealed that six variables had been studied in previous research while four other variables were newly identified. Third, happiness, self-esteem, and grit (consistency of interest) were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emotional problems, while academic helplessness (lack of active performance), smartphone dependence, and parenting attitudes (inconsistency)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emotional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reducing emotional problems among adolescents are discussed.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유학기제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단기・장기효과 분석
- 초등교사의 생활지도 및 상담 부담과 교직만족도의 관계: 생활지도효능감과 학교경영참여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정체성 기반 동기(Identity-Based Motivation) 유형 연구
- MACOS 논쟁의 성격과 시사점
- 법적분쟁을 경험한 공립학교 초등교사의 어려움 탐색
-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에서 주체적 자아(I)의 역할
- 교사의 마을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지역사회의 지속가능성 관점에서 -
- 클래스넷을 활용한 또래생태 및 학급규범 개선: 학생의 학업 열의와 사회적 행동
- 학업요구, 학업자원, 학업정서, 수업집중곤란행동 간의 관계 - 일상 다이어리 기법을 중심으로 -
- 청소년의 정서문제 변화궤적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 및 주요 예측변인 검증
- 중학생이 지각한 교실목표구조와 성장 마인드셋, 성취목표, 자기조절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
- 인류세 시대, 교육에 관한 생태학적 고찰: 브뤼노 라투르의 근대 비판과 정치생태학을 중심으로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그릿 변화양상과 영향변인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