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시환경에서 가로시설물 개선에 관한 연구: 옥의광고물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oadside Advertisements in the Urban Environment
- 발행기관
- 한국OOH광고학회
- 저자명
- 이병국
- 간행물 정보
- 『OOH광고학연구』제1권 제1호, 97~11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2.29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도시환경을 구성하는 요소로는 건축물이나 도로에 못지 않게 도시의 물리적 환경으로서 필연적으로 대두되는 것이 여러종류의 가로 시선물(Street Furniture) 과 광고물류이다.
이러한 도시환경 구성요소는 계획과 성과 여부에 따라서 사회자본으로서의 도시환경에 홍륭한 문화적 가치를 부여하는가 하면 반면에 공해적 요인으로 작용되어지고 있다.
특히 우리 도시환경은 공해직 양상의 상업 간판류와 무신경한 공공시설물의 중복과 난립양상이 두드러져 있으며 가로시설물들은 대부분 일차적인 기능만을 고려한 단순기능의 시설물둘이어서 그 이상의 내적 가치나 사회자본으로서의 문화적 가치는 부족하며 도시환경의 질을 저하시키고 있다.
도시 환경의 통합적 개념에시 공해적 양상을 개선하여 도시 대중에게 생활을 보조, 유지 시켜준다는 본래의 기능에 충실하며 우리나라 도시환경과 관련 디자인 분야의 균형있는 발전은 물론 사회 미의식의 향상과 생활문화의 표출로서 문화적으로 그 가치를 향상 시켜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 경관의 질을 결정하는 대표적 요소안 옥의광고를 중심으로 광고물 관리의 기본 전략을 수립은 물론 옥외광고물 사용업자와 관리자, 도시미관의 조화성등 다각적 접근의 개별성과 통합성 개념에서 더 나아가서는 문화적 자산의 효율적인 발전 방안의 모색과 공간 창출등이 주요 내용이다.
영문 초록
The urban physical environment, society's resource, is constituted not just by its buildings and roads but by the variety of street facilities and advertisements that have inevitably risen to prominence. Yet this essential element in the constitution of the urban environment, while contributing significant cultural value to the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acts as a source of pollution. Particularly conspicuous in this pollutive aspect of our urban environment are the redundancy and superabundance of commercial signboards and indifferent public facilities. Furthermore, most street facilities, having been designed with only a single one-dimensional function in mind, are lacking in intrinsic cultural value as social resources and degrade the quality of the urban environment.
What is required is not only a more balanced development in the urban environmental design of our nation so as to remove the elements that cause pollution in the urban environment and improve the life of the urban inhabitants, but also an enhancement of the expression of an esthetic consciousness in the urban life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focusing as it does on outdoor advertising as a representative element in improving the quality of urban scenery, aims to devise efficient plans for developing cultural assets and creating public space, not only through establishing basic strategies for advertisement management but also through a variety of approaches to hannonization between outdoor advertisement enterpreneurs and managers and urban environmental beauty.
목차
l. 서 론
II. 일반적인 고찰
III. 옥외광고물의 이론적 배경
Ⅳ. 옥외굉고물의 추진방향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사회복지 종사자의 고객지향성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국내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 비폭력대화(NVC)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궐련형 전자담배와 연초에 대한 유해성 인식과 각종 담배 규제 방식에 대한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